복지&지역사회

식물 수입검역, 지난해 폐기·반송 역대 최고 17만건

금지식물 반입 16만 건, 검역병해충 소독불가 1,305건, 금지병해충 발견 41건 등 총 17만건
금지병해충 75종 중 국내에 유입된 건 ‘4종’
박완주 의원 “외래병해충 유입 시 피해 심각” “국경 검역 강화로 국내 유입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국제교역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외래병해충의 국내유입 차단에 총력을 다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식물에 해를 끼치는 외래병해충은 국내에 약 2,141종이 등록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외래병해충의 유입 및 확산을 막기 위한 식물검역 업무는 현재 식물방역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국경검역 업무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수행하고, 국내 유입 이후 발생하는 외래병해충에 대한 예찰 및 방제업무는 농촌진흥청이 수행하고 있다.

 

국제 교역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수입 식물검역 실적도 증가 추세에 있다. 2010년 378만 건이었던 실적은 매년 점차 늘어나 지난해 448만 건을 기록했다. 이는 식물검역관 1인당 연간 12,240건에 달하는 물량이다.

 

수입검역관은 현장검역 과정에서 병해충 발견 여부, 금지식물 여부, 소독가능 여부 등에 따라 해당 식물의 합격 또는 폐기·반송 여부를 결정하는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천안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물검역 결과에 의한 폐기·반송 건수가 역대 최고인 17만 4,448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124,795건 대비 39.8% 증가한 수치로 ‘금지식물’ 반입에 따른 폐기·반송이 162,018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검역병해충 발견 후‘소독불가’에 따른 폐기·반송이 1,305건, ‘금지병해충’에 따른 건이 41건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역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외래병해충이 국경 검역망을 뚫고 국내에 유입될 수 있는 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더욱이 현재 검역과정은 대체로 전수조사가 아닌 샘플조사 방식을 취하고 있다.

 

1900년대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래병해충은 총 91종으로 ‘병’이 43종, ‘해충’이 48종이다. 외래병해충에 따른 농업계 피해는 최근 10년간 매년 발생해왔다. 851.3ha의 농경지, 약 258만평이 외래병해충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이로 인해 최근까지 지급된 정부의 손실보상금은 423억 원에 이른다.

 

한편 외래병해충 중에서도 해를 끼치는 정도가 크다고 인정되는 병해충은 ‘금지병해충’으로서 분류되는데, 박완주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에 유입된 금지병해충은 과수화상병, 감자걀쭉병, 자두곰보병, 소나무재선충병 등 4종이다. 이는 국내 「식물방역법」상 금지병해충에 등록되어 있는 총 75종 병해충의 5.3%에 불과한 수치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국제 교역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금지병해충이 새롭게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며 “식물방역의 핵심은 외래병해충을 원천적으로 국경에서 차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