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감자역병’ 사전방제로 피해 최소화 당부

강원도농업기술원(원장 최종태)에서는 고랭지 지역에 감자역병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면밀한 예찰과 사전방제를 해 줄 것을 시군농업기술센터 및 농업인에게 당부하고 있다.

 

감자 역병은 10~24℃의 서늘한 온도와 상대습도 80% 이상의 조건에서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 잎·줄기와 덩이줄기를 침해하여, 수확 전·후 또는 저장 초기에 부패를 일으킬 수 있다.

 

피해증상으로 잎과 줄기에는 갈색 또는 흑색병반이 형성되고 흰색의 균사가 잎 뒷면에서 보인다. 병든 괴경은 표면에 불규칙한 변색이 있고 잘라보면 괴사한 병반이 조직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보인다.

 

역병 발병 시 감염주는 완전히 제거하고, 괴경이 노출되지 않도록 북을 충분히 주고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병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예방용 약제를 살포하고 병이 발생된 뒤에는 계통이 다른 살균제를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교대로 살포한다.

 

강원도농업기술원 김수환 기술보급과장은 “감자 역병이 일단 발생하면 전파력이 매우 강하여 약제를 살포하더라도 방제 효과가 낮은 편이므로 병이 발생하기 전에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