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

농정원 '청년두드림센터'

청년두드림센터, 농고·농대생 대상 취·창업 멘토링 참여 신청자 9월까지 모집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청년두드림센터’를 통해 취·창업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농업계 학생을 6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4개월간 모집한다.

 

‘청년두드림센터’는 농고·농대 학생들이 농산업 분야에 취·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으로 취·창업 멘토링(권역별 전담 멘토 지정, 직업정보 제공, 서류·면접 컨설팅, 창업 멘토링 제공), 농산업분야 정보(정부·기관·지자체 정책정보, 농산업분야 자격 정보), 취·창업 특강(권역별 특강, 온라인 특강) 등을 제공하며, 농산업계 취·창업을 희망하는 농고·농대 졸업생(졸업예정자 포함)은 온라인으로 신청서만 제출하면 누구나 지원 대상이 된다.

 

취·창업 멘토링 참여 신청기간은 ’20년 6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4개월간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은 청년두드림센터 카페에서 신청서류를 다운받아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농정원 신명식 원장은 “청년두드림센터 취·창업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농산업 분야에 유능한 젊은 인재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신유통토론회...'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