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公 '새만금 방풍림 조성'...온실가스 감축에 앞장

국내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산림분야 1호 감축 사업 등록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최규성농어촌연구원은 새만금 방풍림(5공구조성을 통한 탄소흡수량 증대사업이 배출권거래제 상쇄제도 외부사업으로 산림분야 최초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사업은 새만금 농업용지(5공구) 17ha에 해송메타세콰이어  8161,549본을 신규조림(식재)하는 사업으로서농업용지의 해풍 피해 방지비산먼지 및 비염 등의 재해방지와 더불어 산림자원을 활용한 온실가스 흡수원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식재가 완료되는 올해 말부터 매년 약 125톤의 온실가스를 흡수하여, 2048년까지 총 3,750톤의 온실가스가 흡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어촌연구원 관계자는 “사업이 확대되어 새만금 농생명용지313ha에 방풍림이 조성될 경우 향후 30년간 약 64천 톤의 온실가스 흡수와 약 12억 원의 배출권 판매 수익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농어촌연구원 장중석 원장은 “이번 사업이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기여하는 한편 새만금 인근의 비산 먼지를 줄이는 등 농어촌 환경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사는 추진 중인 다양한 사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외부사업을 꾸준히 발굴·추진해 농어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집밥' 보양식 트렌드... ‘한돈’ 찾는 이유?
다가오는 8월 9일 말복, 올여름의 마지막 복날이 코앞이다. 연일 ‘역대급 폭염’과 ‘최장 열대야’라는 말이 뉴스에 오르내릴 만큼, 올해 여름은 유난히 덥고 지치는 날들이 계속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5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온열질환자는 3,12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배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체력을 보강하고 몸을 다독이기 위한 보양식 수요도 덩달아 높아지는 분위기다. 최근 보양식은 예전처럼 비싸거나 진한 국물 요리를 즐기기보다는, 트렌드에 맞춘 ‘가성비 좋은 집밥 보양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복잡한 한 상 차림보다는 간편하면서도 영양을 제대로 챙길 수 있는 식단이 선호되는 것이다. ■ ‘가성비·집밥·간편식’… 달라진 보양식 풍경 최근 입맛의 세분화와 미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양식을 중장년층만의 식문화로 여기던 인식이 점차 바뀌고 있다. 복날 메뉴도 과거 한, 두 가지로 고정된 것에서 이제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진화중이다. 뜨거운 국물 대신 간편한 영양 보충을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며, 보양식 역시 시대에 맞게 재해석되고 있다. 특히, MZ세대와 1~2인 가구를 중심으로 ‘보양식=외식’ 공식이 서서히 깨지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말복날 앞두고 ‘염소탕’ 주목... 알고 먹으면 더 든든한 복날 보양식
8월 9일(토) 말복날을 앞두고 염소고기 시장에 말복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복달임 음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염소 고기의 영양적 가치와 함께 가정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염소탕’ 조리법을 소개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염소 고기는 6~8월에 전체 생산량의 약 30%(2023년 기준)가 집중될 만큼 여름철에 많이 생산된다. 이는 여름철 보양식으로서 염소 고기에 관심이 많고 소비 또한 적지 않다는 방증이다. 우리나라 전통 의학서 ‘동의보감’ 에는 염소 고기가 체력 보강, 피로 해소, 소화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기록이 있다. 실제로 염소 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적어 고단백·저지방 식단을 선호하는 현대인에게 적합하다. 또한, 칼슘과 철분이 많아 뼈 건강과 혈액 생성에 도움이 되고, 몸에 활력을 주는 비타민 이(E)와 비(B)가 들어 있어 여름철 기력 회복 음식으로 제격이다. 염소 고기는 쇠고기처럼 등심, 목심 등 10개 부위로 나뉘며, 붉은색을 띤다. 고기 조직이 부드럽고 질기지 않아 탕, 수육, 불고기 등으로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고,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기기에 좋다. 염소 고기는 조리 전 잡내를 줄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