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종자업 등록업체(2016년 기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2016년 기준 종자업 실태조사”

“2016년 기준 종자업 실태조사

종자업 등록업체(2016년 기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국립종자원(원장 오병석)은 종자산업 육성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종자업실태조사8. 89. 4일에 걸쳐 실시한다.


종자업실태조사는 ’16년 국가통계로 첫 승인받아 1차년도 본 조사하여 그 결과를 공표한 바 있다. 1차년도 조사는 국가통계로 승인받아 결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종자산업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었으며, 조사항목()에 대한 기본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주요 조사항목은 종자업체 조직규모, 판매규모 및 품목별(채소·과수·화훼·버섯·식량·산림·특용/사료/기타) 시장규모, 연구·인력풀의 역량 등으로 산업의 구조적 측면에 대하여 조사했다.


특히, 올해 조사에서는 최근 종자업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R&D(연구개발) 등 관련 항목을 중점적으로 조사한다. 종자회사는 소비자 요구에 맞는 신품종 개발을 위하여 굳건한 R&D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국내 연구인력 및 품종별 생산 현황 등 관련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종자업실태조사에는 전문 기기를 갖춘 연구소 및 인력 현황, 주요 품종의 생산현황 등 업계 요구사항에 대한 주요 항목이 반영되어 있어 향후 조사결과에 따라 업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투자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국립종자원 관계자는 종자업실태조사’ 2차년도 본 조사의 객관적인 자료 확보를 위하여 종자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종자업실태조사는 관계기관 및 업계뿐만 아니라 국민과의 소통을 통하여 조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과 업계에서 요청하는 항목에 대하여 적극 반영하여 조사표를 지속적으로 추가보완할 예정이며, 종자산업 실태조사와 발전에 필요한 열린 조사항목을 마련하여 종자산업 현장과 정책이 밀착 연계되는 통계로 만들어 가고자 하오니 종자업실태조사관련 정보 및 조사항목에 대한 문의가 있을 경우, 국립종자원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