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고양 국제 꽃 박람회장 '1 Table 1 Flower' 상담장 운영

aT 화훼사업센터, 사무실 꽃 생활화 현지상담 등 관람객 방문 환영

고양 국제 꽃 박람회장에 '1 Table 1 Flower' 담장 운영

aT 화훼사업센터, 사무실 꽃 생활화 현지상담 등 관람객 방문 환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 화훼사업센터에서는 지난 514까지 17일 동안 고양 호수공원에서 열리고 있는 ‘2017 고양 국제 꽃 박람회기간에세계화훼류관에서 일상에 꽃을 더하다라는 주제로 ‘1 Table 1 Flower 운동홍보관을 운영한다.

 

고양 국제 꽃 박람회는 해외 30개 국가 110개 업체, 국내 158개 기업·기관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꽃 박람회로 약 60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T에서는 최근 들어 지속되는 꽃 소비 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꽃과 더불어 행복한 직장생활 캠페인의 일환으로 1 Table 1 Flower 운동을 ‘169부터 추진해온 결과 지금까지 49개 기업 69,000테이블을 운영하여 직장 내 새로운 꽃 소비문화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직장 내 꽃 생활화 운동을 각 가정, 자영업소, 학교 등 생활속으로 확산시켜 범국민 문화운동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홍보의 장을 마련하고 가격대별 다양한 형태의 1 Table 1 Flower 운동 꽃 샘플 전시, 상담코너 등을 운영함으로써 홍보관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꽃 생활화 운동 확산에 동참토록 안내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가장 소비가 감소(27%)한 난류에 대해 선물용으로 제작한 개당 5만원 이하의 安心 蘭을 전시하여 난은 비싸다는 오해를 불식시켜 선물용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전시된 화분들은 행사 종료 이후 아동그룹홈인 성심효주의 집을 방문하여 전달함으로써, 소외된 이웃을 위한 사랑 나눔에 활용할 계획이다.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여인홍 사장은 이번 홍보관 운영을 계기로 이제 꽃은 사치품이나 선물용으로만 주고받던 것에서 나 자신과 우리가정의 행복을 위해 기꺼이 살 수 있는 선진형 범국민 문화운동으로 정착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