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일상에 꽃을 더하다’주제로 꽃 생활화 페스티벌 개최

반려식물·미니정원 등 전시, 압화만들기 등 다채로운 이벤트 진행

일상 속 꽃 생활화 이야기를 예술의전당에서 공개합니다.”

반려식물·미니정원 등 전시, 압화만들기 등 다채로운 이벤트 진행

 

가을의 문턱에서, 대중과 문화예술이 소통하고 교감하는 예술의 전당에서 일상 속 아주 특별한 꽃 이야기가 펼쳐질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예술의전당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시행에 따른 화훼소비 위축 현상을 해소하고, 우리의 삶터, 일터에서 꽃과 함께하는 분위기 확산을 통한 꽃 소비저변 확대를 위해 꽃 생활화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행사가 문화예술의 중심지인 예술의전당(1988년 개관)에서 개최함으로써 꽃 소비를 문화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행사 첫날인 105일에는 꽃 생활화 페스티벌을 공동주최한 농식품부 김재수 장관, 예술의전당 고학찬 사장과 더불어 화훼관련 기관·단체장, 화훼농가, 일반시민 등이 참석하는 가운데 개막식이 있을 예정이다.


행사기간인 105일부터 9일까지 5개의 전시관을 운영하는데 전시관은 생활속에서 시민들이 쉽게 꽃을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려식물·미니정원 전시관)에서는 반려식물 디자인 공모전 출품작과 작은 공간을 꾸민 포인트 미니정원 공모전 입상작품을 전시하여 가정과 사무실에서 쉽게 꽃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선보일 예정이며, (화훼장식·상품관)에서는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실속형 화환·꽃바구니 디자인 작품·상품과 교회·사찰 등 종교 행사용 화훼작품을 전시한다.


(꽃가공품관)에서는 드라이플라워, 압화, 보전화 등 전시와 꽃차(음료) 및 꽃 쿠키 등 전시하여 꽃을 활용한 상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며, (이벤트관)에서는 꽃을 통한 다양한 체험공간을 마련하여 압화·꽃다발 만들기 체험을 추진하고, 꽃을 주제로한 음악공연도 선보이며, (국산품종관)에서는 정부 및 민간이 개발한 국내 육성품종을 전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꽃 생활화 페스티벌에는 우리의 삶터, 일터에서 늘 꽃을 즐기는 꽃 생활화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므로 많은 시민들이 찾아와주셨으면 좋겠다, 문화와 예술이 숨 쉬는 예술의전당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아름다운 꽃향기로 오래 기억될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기회를 드리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