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중앙회 및 경제지주 여성 임원 ‘0’명

여직원에게만 좁은 승진길, 유리천장 혁파해야

2018년 8월 기준으로 농협중앙회 및 35개 계열사를 총괄하는 농협경제지주의 집행간부급(상무보 이상)의 여성비율은 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은 높아 중앙회의 경우 624명 중 42%인 259명이 비정규직이었으며, 경제지주 역시 517명의 여직원 중 48%인 246명이 비정규직이었다.

 

농협의 금융지주 역시 상황은 비슷한데, 26명의 임원직급 중 농협은행에 단 1명의 부행장보(상무보급)만이 집행간부 보직을 받았으며, 심지어 농협생명과 농협손해보험의 경우에는 M급(부장급)도 없는 상황이다.

 

범농협 그룹과 계열사 중에서도 특히 여성의 비율이 높은 금융관련의 경우 전체 임직원 대비 현황을 대비하여 살펴보면 유리천장의 심각성을 더욱 알 수 있다. 농협은행은 전체 16,306명의 임직원 중 50%인 7,991명이 여성이며, 농협생명과 농협손보 역시 전체 직원 중 각각 38%, 33%가 여성이나 관리 직군으로 올라갈수록 급격한 좁은문으로 바뀌게 된다.

 

4급(과장급) 기준으로 농협은행은 여성비율이 52.4%이나 M급(부장급)은 3.4%이고, 농협생명과 손해보험 역시 4급 중 여성 비중은 36%와 37%이나 M급은 단 1명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비정규직 비율을 살펴보면 임원과 관리직에 대한 진출은 고사하고 여직원들의 농협중앙회 비정규직 비율은 41%, 경제지주는 47%에 이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성들이 많이 근무하는 금융 계열사 역시 마찬가지로 금융지주는 40%, 은행은 75%, 농협생명은 60%, 농협손보도 50%의 여성 근로자가 비정규이다. 농협은행의 경우 3명중 1명은 비정규직인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만희 의원은 ‘위미노믹스(Womenomics) 시대'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여성의 역할과 사회적 활동확대가 국가와 경제발전에 핵심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 직원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농협이 앞장서 주길 강력히 촉구하였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