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청탁금지법 완화효과(?)... 설 대목장 한우 도축량 13.7% 증가

- 축평원, 한우 암 도축두수 전년대비 9.1% 증가, 설 전 7일 암소 도축 70.2% 증가
- 설 이후 상반기 출하예상 물량도 전년대비 13.3% 높아
- 축평원, 축산물이력정보와 가격정보 최근 6년간 설 성수기 분석자료 의미 커

 

지난 설대목 한우 도축량이 크게 늘면서 청탁금지법 완화와 같은 명절 대목장을 톡톡히 봤다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축산물이력정보와 가격정보를 활용하여 최근 6년간 설 성수기(설 전4주) 한우 출하현황과 도매가격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금년 설 성수기 한우 도축물량은 10만1천 두로 전년보다 13.7%(1만2천 두) 증가하였고, 평년(올해를 제외한 최근 5년 평균 9만3천 두)보다 많았다.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 추세 여파로 출하물량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설 성수기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출하물량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0.2%(31원/㎏) 하락한 19,972원/㎏을 기록했다.
한우 거세우 도매가격은 21,129원/㎏, 암소는 17,915원/㎏으로 한우 평균 도매가격과 같은 추세로 소폭 하락하였다.

한우 거세우의 경우, 5만7천 두가 도축되어 전년보다 18.8%(9천 두) 증가하였다. 또한, 도축월령은 전년대비 0.2개월 연장되었고, 도체중량은 9.9㎏ 증가하였다.

한우 암소의 설 성수기 도축은 4만3천 두로 전년보다 9.1%(4천 두) 증가하였다.
특히, 설 전 일주일간의 미경산우 도축은 전년보다 69.5%, 경산우 도축은 전년보다 70.4%로 대폭 증가하였다.

 


해당기간(1.24∼29)의 암소 도축이 증가한 것은 지난 추석에 이어 농식품부에서 추진한 설 성수기 한우 암소 도축수수료 지원사업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소의 평균 도축월령은 전년보다 0.3개월 단축되었으며, 도체중량은 6.2㎏ 증가하였다.
    
설 성수기 이후 올해 상반기 출하가 예상되는 25개월령 이상 수소(거세 포함)의 사육두수는 18만4천 두로 전년보다 13.3% 증가하는 등 앞으로도 사육규모 확대에 따른 출하물량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축평원 관계자는 “축평원은 앞으로도 농장경영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소 이력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질병검사 한 번으로 복숭아 병 5개 찾아
국립종자원(원장 양주필)은 지난 5년간(’20~’24) 수행한 ‘과수 무병묘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한 번의 진단으로 5종의 복숭아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유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복숭아 나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생육 불량과 기형과 발생으로 과실의 품질이 저하되어 극심한 피해를 유발한다. 이를 극복하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무병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번에 국립종자원이 개발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기반의 진단기술은 단 한 번의 검사로 복숭아 주요 병원체 5개를 동시에 진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1/5로 줄여 검사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본 기술을 활용하면 복숭아 무병묘 생산부터 과수원의 수확 현장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고 제거함으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국립종자원은 이번에 획득한 특허기술을 관련기관과 민간에 이전하여 농업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적극행정에 앞장설 계획이다. 국립종자원 양주필 원장은 “이상기후로 인한 재배환경의 급격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