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생산자 의견 배제한 '정부 쌀 수급안정대책' 규탄!

통계청 예상생산량에 따른 자동시장격리 발표요구 무시
농민단체들 "양곡관리법 위반, 자동시장격리 약속, 책임 묻겠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0월12일 발표한  ‘2021년산 쌀 수급안정대책’을 규탄하며 양곡수급안정협의회에 참여한 생산자단체는 이 대책발표에 동의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쌀 수급안정대책은 양곡관리법 제16조(가격안정을 위한 양곡의 수급 관리) ②항에 의거-신설 2020. 1. 29.- 매년 10월 15일까지 기획재정부 및 생산자 단체의 대표 등과 협의하여 대책을 수립ㆍ공표하여야 한다는 근거가 있으며. 다만, 기상 여건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해당 연도 생산량 예측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기한을 연장한다고 되어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통계청이 2021년산 쌀 예상생산량을 발표하는 10월08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수급안정대책 협의를 했지만 생산자단체의 수요량 초과 생산량에 대한 선제적 격리발표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체, 쌀 수급안정대책이라고 발표했다.

통계청은 10월08일 2021년산 쌀 예상생산량 발표를 통해 단보당 522kg, 총 383만톤의 예상생산량을 발표했고 농식품부는 당일 회의에서 ’21년 신곡수요량을 357~361만톤으로 전망하여 초과생산량은 약 22~26만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생산자단체에서도 평년작 수준의 쌀 생산을 예상하며 신곡수요량보다 많은 공급량에 대해서는 빠른 격리발표로 시장가격안정을 위한 정부정책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충청 이남의 병충해와 9월 기상현황 등을 핑계삼아 11월15일 통계청의 실수확량 조사결과 이후로 실질적인 대책발표를 미룬 것이다.

이에 양곡수급안정협의회 참여 5개 생산자단체(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전국쌀생산자협회,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전국농민회총연맹)는 이번 발표된 농림축산식품부의 ‘2021년산 쌀 수급안정대책’은 생산자단체 협의(제안)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잘못된 대책으로 양곡관리법 위반사항을 경고하고 있다.

정부는 2019년 쌀 생산자단체와 26,750원/쌀10kg(214,000원/80kg)으로 결정한 ‘쌀목표가격제도’를 중지하며, 쌀 가격안정을 위한 ‘시장자동격리제’를 약속했고 그 결과 2020년 1월 현재의 양곡관리법으로 개정됐다.

자동시장격리의 조건은 초과생산량이 생산량(또는 예상생산량)의 3% 이상인 경우와 단경기 또는 수확기 가격이 평년 가격보다 5% 이상 하락한 경우(단 2020∼2021년산에 대해서는 전년 가격보다 5% 이상 하락한 경우도 포함)로 현재 통계청의 예상생산량은 수요량예측 대비 3% 이상이기에 시장격리의 요건에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생산자단체의 격리요구가 외면당한 것이다.

이미 농촌지역에서는 양곡도매업자와 일부RPC가 생산량 증가상황을 이용하며 농업인의 불안감을 자극하고 벼 수매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농식품부의 시장자동격리의 약속은 거짓이었나’라는 울분에 찬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양곡수급안정위원회에 참여하는 생산자 5개 단체는 다시한번 농림축산식품부의 ‘2021년 쌀 수급안정대책 발표’에 대해 단체의견이 배재된, 결코 동의할 수 없는 내용이라 규탄하며, 그 대안으로 양곡관리법에 따라 통계청의 예상생산량과 농식품부의 신곡수요량 예측을 초과하는 물량에 대한 ‘자동시장격리’ 발표를 조속히 시행하고, 이후 시장상황 변화 및 실수확량 발표계획(통계청)에 따라 생산자단체와 협의를 지속하고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만약, 생산자단체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을 경우 ‘쌀목표가격제도’를 중지하기 위해 쌀 생산 농업인에게 ‘자동시장격리’라는 거짓말을 하며, 또 수급안정을 위한 양곡관리법을 위반한 농림축산식품부와 현 정부가 감당해야 할 것으로 책임을 물을 것이며, 생산자단체는 쌀 농업과 쌀 생산 농업인의 권익보호와 소득안정, 쌀 가치상향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싸울 것을 경고하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악취관리시스템, ‘축산환경e로움’으로 새롭게 출발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의 명칭을 ‘축산환경e로움’으로 변경하고, 9월부터 본격적으로 홍보에 나선다. 기존의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은 2017년 축산악취 관리를 위해 처음 구축되었으며, 현재는 깨끗한 축산농장, 가축분뇨 자원화조직체 운영, 축산악취개선사업,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축산환경조사, 악취측정 ICT 기계·장비 지원사업 등 주요 사업을 포괄하는 시스템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이번 명칭 변경은 ‘악취’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전체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44명이 81건의 명칭을 제안하였으며, 농림축산식품부·지자체·관리원 관계자 심사를 거쳐 최종 명칭이 확정됐다. 심사 결과, ‘축산환경e로움’이 평균 89.7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새 명칭은 ‘축산환경’과 ‘e(efficient·easy)’에 ‘이로움’을 결합한 합성어로, 온라인 시스템이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업 관리·운영 시스템을 의미한다. 축산환경관리원 산업기반부 이정식 부장은 “이번 명칭 변경으로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는 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