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피프로닐' 살충제 살포 농가에 권하고 농가 탓만하는 정부(?)

김현권 의원, 공무원이 피프로닐 살충제 권장…2012년~2013년 전문언론 기고문서 사용방법 소개

'피프로닐' 살충제 살포 농가에 권하고 농가 탓만하는 정부(?)

김현권 의원, 공무원이 피프로닐 살충제 권장2012~2013년 전문언론 기고문서 사용방법 소개

일본양계협회 닭진드기매뉴얼, 피프로닐 언급 없어

 

정부 당국이 계란생산 농가들을 상대로 국내에서 가축에 대한 사용을 허용치 않고 있는 피프로닐로 만든 살충제를 이용한 닭진드기 퇴치방법을 권장해 놓고 이제와서 농가 탓을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82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 국산계란 살충제 안전관리대책관련 현안 보고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사진>은 지난 2012~2013년 국내 농업기술보급기관인 농촌진흥청 담당자가 신분과 잡지 등을 상대로 한 기고문에서 사용이 허용되지 않은 피프로닐을 언급하면서 상세한 살충제 사용법을 소개했다면서 정부 전문가의 이런 친절한 해설에 따라 피프로닐 살충제를 사용한 농가들은 얼마나 억울하겠냐고 따졌다. 

반면 20129월 대한양계협회가 발행하는 월간양계 9월호에 실린 일본양계협회의 '산란계 닭 진드기 대책 매뉴얼'은 피프로닐은 언급하지 않고, 계사에서 닭을 모두 빼낸 뒤(올 아웃), 그리고 새 계군을 입식하기 전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면서 산란직후 계란에 약액이 부착되면 계란안에서 기준치가 넘는 양의 약제가 검출됐다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정부 당국의 실무 담당 공무원이 대표적인 전문언론들을 통해서 국내에선 가축에 대한 사용이 허용되지 않은 살충제 계란의 주범인 피프로닐 사용을 정당화하고 연속해서 반복 살포하라는 살충제 사용방법까지 권장하고 나선 것을 보면 사실상 정부 당국이 문제의 살충제를 보급한 거나 다름없는 것 아니냐면서 이래놓고 일이 터지면 애꿎은 농가들만 죄인으로 몰리는 일이 반복하는 것 같아서 답답하다고 안타까움을 호소했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