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파프리카 수출지원 발 벗고 나서는 농정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국제통상협력처, 강원도 평창 안미리마을 마을정화

파프리카 수출지원 발 벗고 나서는 농정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국제통상협력처, 강원도 평창 안미리마을 마을정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박철수) 국제통상협력처 직원 13명은 지난 26일 강원도 평창군 안미리마을에서 사회 공헌활동을 펼쳤다. 또한, 안미리마을의 오대영농조합법인은 30대 젊은 귀농인과 후계농들이 힘을 모아 스마트 팜을 도입하고 파프리카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고품질의 파프리카 1,699톤을 일본으로 수출해 573100만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우수농업법인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번 활동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 중인 깨끗한 농업·농촌 만들기 캠페인(Clean Agriculture Campaign, CAC)과 연계하여 실시해 그 의미가 더 크다. 마을 주변 청소 등을 실시하여 농촌 일손 돕기와 깨끗한 농촌 환경 조성에도 일조했다. 또한, 스마트 팜 기술의 국내외 선진사례, 도농간 연계를 통한 농촌 일자리 창출에 대한 국내외 사례 등을 마을 주민들에게 소개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등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농정원 국제협력처장(정윤용)은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을 알리고, 농번기 농가의 일손 돕기와 깨끗한 농촌 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