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영광모싯잎 송편’ 지리적표시 등록으로 명품 도약 !

지리적표시권 독점적·배타적 권리 법적 보장

영광모싯잎 송편지리적표시 등록으로 명품 도약 !

지리적표시권(104) 독점적·배타적 권리 법적 보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남태헌)()영광에서모싯잎떡을만드는사람들의 영광모싯잎송편을 지리적특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농산물 지리적표시 제104호로 등록하였다고 밝혔다.


지리적표시 등록제는 ’997월에 도입되어 ’021월 보성 녹차가 1호로 등록 된 이후, 이번 영광모싯잎송편이 104번째 이다.


영광모싯잎송편 지난해부터 지리적표시등록심의분과위원회 심의 3, 현지조사 1회 및 수정·보완 등 엄정한 심사와 2개월간 등록신청공고 기간을 거쳐 최종 등록이 확정됐다.






()영광에서모싯잎떡을만드는사람들회원은영광모싯잎송편 대해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에 따라 지리적표시권을 갖게 되며,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영광모싯잎송편은 과거에는 주로 자가 소비용으로 생산되었으나 최근 영광지역 향토음식특산품으로 계승발전되었다. 70년대 영광읍내지역의 떡집을 중심으로 모싯잎송편을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도시로 떠난 영광군 출향민들의 입소문으로 소비자인지도가 향상 되어 연간 매출액 약 250~300억원을 올리는 영광군의 대표적인 향토산업으로 발전했다.


영광모싯잎송편의 외형적 특성은 길이가 8~10로 일반송편의 1.5~2배이며 모싯잎을 첨가하여 녹색을 띄는 등 타 지역 송편과 구별된다. 모싯잎을 멥쌀과 같이 빻아서 가루를 만들고, 이 가루로 익반죽(곡류의 가루를 끓는 물로 하는 반죽)하여 만든 피에 동부, 소금 등으로 만든 소를 넣어 생산하고 있다. 영광산 모싯잎이 약 20%가량 함유되어 있어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진녹색이 선명하며 모싯잎 본연의 풍미(flavor)가 진한 품질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 지리적표시 등록으로 영광모싯잎송편의 우수성이 공인되어생산가공유통체험 등과 연계한 6차 산업화 및 지역특산명품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광모시잎송편산업은 영광군 관내 고용창출, 농업(, 모싯잎, 동부생산), 모싯잎송편 유통 등 영광군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약 160억원으로 추정된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