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서울우유, 창립 80주년 기념 이벤트 열어

이마트에서 8,080원 이상 구매 후 영수증 인증하면 샤넬백 등 경품 제공

서울우유, 창립 80주년 기념 이벤트 열어

이마트에서 8,080원 이상 구매 후 영수증 인증하면 샤넬백 등 경품 제공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송용헌)은 지난달 세계 최대규모 우유가공 신공장 준공식에 이어 창립 80주년을 기념해 고객 감사 이벤트를 하고 있다.

먼저, 서울우유 제품 구입 고객을 대상으로 영수증 인증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이벤트는 이마트에서 서울우유의 전 제품 가운데 8,080원 이상을 구매하고, 그 영수증을 서울우유 홈페이지에 인증해 응모할 수 있다.

427일부터 531일까지 구매한 영수증에 한해 이벤트 참여가 가능하며, 응모 기간은 67일까지다. 추첨을 통해 나100% 500mL 기프티콘(8,080)을 비롯해, 샤넬백(1), 다이슨 청소기(5), 아이패드 에어2 128G(10), CGV 영화관람권 2인권(1,000) 등 푸짐한 상품을 제공한다.


또한, ‘행운번호로 우유의 역사를 확인해보세요!’ 이벤트는 서울우유 홈페이지에서 우유팩에 인쇄되어 있는 행운번호를 입력하고 유리병에서 카톤팩으로 이어지는 서울우유 패키지 변화 역사를 확인하면 응모가 완료된다. 응모 기간은 1(522~623)2(626~721)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며, 응모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응모를 완료하면 나100% 1L 기프티콘(2,000), 500mL 기프티콘(5,800)에 대한 당첨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즉석 당첨 여부와 상관없이 추첨을 통해 순금 8(10), LG 트롬 건조기(20), 다이슨 드라이기 슈퍼소닉(50), 치즈선물세트(200)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한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서울우유가 지난 80년간 국내 유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1위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고객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서울우유는 지속적인 우유 품질 향상 노력을 통해 고객의 사랑에 보답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식품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