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협 ‘더 헤아리는 서비스 CS3.0’ 발대식

농협상호금융 “전국 1,130개 농·축협 동시 실시, 혁신적 고객서비스 추진” 다짐

농협 더 헤아리는 서비스 CS3.0’ 발대식

농협상호금융 전국 1,130개 농·축협 동시 실시, 혁신적 고객서비스 추진다짐

 

농협상호금융(대표 이대훈)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구현을 위해 농심(農心)을 담은 고객만족더 헤아리는 서비스, CS 3.0”발대식을 3일 전국 1,130개 농·축협에서 동시 실시했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의 영상메세지를 통해 농업인과 고객을 위한 농협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CS 3.0의 의미를 새기고 추진계획을 공유했으며, 그 실천과 붐 확산을 다짐하는 결의문 채택과 가두캠페인도 펼쳤다.

전국의 농축협 임직원들은 CS 3.04대 행동규범인고객 더 알기, 업무 더 알기, 소통 더 하기, 혜택 더하기를 생활화 해 감동의 서비스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농협이 될 것을 다짐했다.

 

한편, 이대훈 대표이사는 이날 오전 서울 강동농협(조합장 박성직) 로데오지점에서 펼쳐진 발대식에 참석해 농업인과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과 행복을 전하는 CS 3.0 추진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이대훈 대표는 농협은 지난해 9월 기존 고객만족의 개념을 뛰어넘어 고객 중심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CS 3.0을 선포했다이를 실현하고자 발대식을 기점으로 한 차원 높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CS 3.0을 적극 추진해, 농가소득 5천만원 시대와 농업인과 고객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