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서울우유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 2종 출시

세계적인 수제초콜릿 브랜드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의 ‘기타드 초콜릿 사용

서울우유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 2종 출시

세계적인 수제초콜릿 브랜드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기타드 초콜릿 사용

다크초콜릿의 깊은 풍미 리얼딥’ &티라미수와 라즈베리의 달콤한 조화 로제티라미수출시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송용헌)이 세계적인 수제초콜릿 브랜드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와 손잡고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 2종을 출시했다.이번 신제품은 서울우유의 1등급A 프리미엄 국산 원유와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의 기타드(Guittard)’ 초콜릿이 함께 만나 탄생한 프리미엄 초콜릿 디저트 음료로 초콜릿 본연의 깊고 진한 맛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1891년 설립된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는 미국 내 초콜릿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점포를 가지고 있는 세계적인 초콜릿 제조·판매 업체로, 150년 전통의 초콜릿 원재료 회사 기타드(Guittard)’의 초콜릿만을 사용해 특유의 풍부한 맛과 향을 자랑한다.

 

서울우유의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리얼딥(Real Deap)’로제티라미수(Rose Tiramisu)’ 2종으로 출시된다.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 리얼딥6.5% 초콜릿 함량으로 다크초콜릿의 진하고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록키마운틴 초콜릿팩토리 로제티라미수는 티라미수와 라즈베리향이 어우러져 기존 제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선하고 달콤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서울우유 음료마케팅팀 이용 팀장은 가공유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더욱 깊은 초콜릿 풍미를 선사하기 위해 명품 초콜릿 브랜드와의 전략적 제휴를 진행하게 됐다이번 신제품은 명품 원유와 명품 초콜릿이 만난 만큼 기존 제품들과는 차별화된 맛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