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협상호금융, 농가소득 증대 위한 토론의 장

이대훈 대표 “농가소득 증대위해 상호금융이 해야 할 역할을 발굴해 나갈 것”

농협상호금융, 농가소득 증대 위한 토론의 장

이대훈 대표 농가소득 증대위해 상호금융이 해야 할 역할을 발굴해 나갈 것

‘2017 상호금융 컨퍼런스개최, 상호금융의 역할과 방향 모색

 

농협상호금융(대표 이대훈)224일부터 25일까지 12일간 농협이념중앙교육원에서‘2017 상호금융 컨퍼런스를 개최해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상호금융의 역할을 모색하고 사업추진 의지를 다졌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이대훈 대표이사를 비롯한 중앙본부 및 지역본부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총 5가지 테마과제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참석자들은 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 구현을 위한 상호금융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의견을 나눔으로써, ‘농가소득 5천만원 시대를 앞당기는 상호금융의 역할을 찾아가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또한, 2017년도 농·축협의 건전경영을 지원하고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짐을 담아 결의문을 채택하고 모든 참석자가 함께 북한산 정상을 등반하며 추진 의지를 다졌다.

 

이대훈 대표는 직원들과 폭넓은 소통을 통해 상호금융이 가야할 길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답을 구하는 시간이었다, “농가소득 증대를 위하여 상호금융이 해야 할 역할을 발굴해 충실히 이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