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협, 종자산업 발전 토론회 가져

김병원 회장 “농자는 천하의 근본이지만, 종자는 농자의 근본”

농협, 종자산업 발전 토론회 가져

김병원 회장 농자는 천하의 근본이지만, 종자는 농자의 근본

9, 농우바이오 방문하여 R&D 강화와 해외시장 개척 등 종자산업 발전의지 밝혀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은 9일 농우바이오 여주 R&D센터(경기도 여주시)를 찾아 육종연구시설과 품질관리시설을 점검하고, 종자산업 발전 토론회를 직접 주관하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농협경제지주 김원석 대표이사와 농우바이오 최유현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하여 기능성맞춤형 신품종 개발, 해외수출 확대를 위한 스타품목 발굴 등 농가소득 5천만원 시대를 열기 위한 종자산업 발전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농우바이오 최유현 사장은 농우바이오가 농협 가족이 된 만큼 농업인과 국민께 사랑받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투자와 연구를 더욱 강화하고, 고품질 우량종자의 개발보급으로 농가소득이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이에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은農者는 천하의 根本이지만 種子農者根本인 만큼, 농우바이오가 잘 되어야 대한민국 종자 산업이 발전하고, 우리 종자가 세계 곳곳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지속적인 R&D투자와 해외 시장 개척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농업인들에게도 바로미터가 될 수 있는 글로벌 협동조합 기업으로 성장해줄 것을 당부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