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가소득 5천만원 비결을 발굴” 사례공모

농협창조농업지원센터, 농가소득 5천만원 Up-Go 우수사례 3월 3일까지 공모

농가소득 5천만원 비결을 발굴사례공모

농협창조농업지원센터, 농가소득 5천만원 Up-Go 우수사례 33일까지 공모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는 농가소득 5,000만원을 기필코 달성하여 농업인이 행복한 국민의 농협을 실현하기 위해 농가소득 5,000만원 그 비결을 발굴하라는 주제로 농가소득 5,000만원 Up-Go 우수사례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응모기간은 21일부터 33일까지이다.

 

심사를 통해 대상 1(상장 및 상금 200만원) 최우수상 2(상장 및 상금 100만원) 우수상 2(상장 및 상금 50만원) 장려상 20(상장 및 상금 20만원) 참가상 20(상금 6만원)을 선정해 시상한다.

농가소득 5,000만원 Up-Go공모전은 농가소득 5,000만원 조기달성과 농업인이 행복한 농협을 실현시키고자 농협의 의지를 업고 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농업인들의 영농현장의 생생하고 실사구시적인 농가소득 향상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농업경영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수상작에 대해서는 우수 사례집을 발간, 계통사무소에 보급할 예정이며, 수상자에 대해서는 사례강사로 초빙하여 교육과정에 활용함은 물론 창조농업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직거래 장터 등을 통한 홍보 및 전시, 판로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개원한 농협창조농업지원센터는 농식품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 창업지원, 판로·금융지원, 현장체험형 창조농업교육 등 농업과 아이디어·기술과의 만남이 경쟁력으로 이어 질 수 있도록 플랫폼 역할을 다하여 올해를 농가소득 5천만원 시대를 여는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