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INAK사회공헌大賞’ 후보자 추천 공고

(사)대한인터넷신문협회, 오는 4월 30일까지 추천 접수

‘INAK사회공헌大賞후보자 추천 공고

()대한인터넷신문협회, 오는 430일까지 추천 접수

()대한인터넷신문협회(회장 이치수)는 바람직한 청소년상(靑少年像)을 정립하는데 귀감이 되는 자와 지역과 국가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찾아 시상하는 제3‘2017 INAK사회공헌大賞수상 후보자를 오는 430일까지 추천받는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015년 처음 제정된 'INAK사회공헌대상은 올해 3회째로 국가발전부문, 경제부문, 국회의정부문, 교육부문, 법률부문, 과학부문, 보건부문, 프레스클럽부문, 문화예술체육부문 등 총 9개 부문에서 시상하고 있다.

1‘2015 INAK사회공헌대상에서는 국회의정부문으로 주승용 국회의원과 안홍준 전 국회의원, 보건부문에는 전혜숙 국회의원, 과학부문에는 이상희 전 과학기술부장관과 오준호 KIAST교수 등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2016 INAK사회공헌대상에서는 기업부문으로 이재남 박사(이페스코리아 회장), 국회의정부문으로 박영선 국회의원, 이우현 국회의원, 천정배 국회의원, 심상정 국회의원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법률부문에는 안대희 전 대법관, 과학부문에는 장영탁 서울대교수, 보건부문에는 윤도준 동화약품 회장, 프레스클럽부문에는 진선미 국회의원, 이원욱 국회의원, 이동섭 국회의원, 김병립 제주시장, 김재호 전 장안대 교수, 송종인 천안북일고 교사가 각각 수상했다.

‘2017 INAK사회공헌대상은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추천이 가능하고 다수의 후보자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기관, 단체,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등도 추천이 가능하다.

추천 서류접수는 125일부터 오는 430일 오후 5시까지이며 제출서류는 수상후보자 이력서 및 추천 공적서를 첨부해야 한다.

수상자 발표는 오는 510() 오전 11()대한인터넷신문협회에 게재하며 수상자에게는 개별 통보된다. 시상일은 오는 5월 예정이며 정확한 일자와 시상장소는 추후 공고할 예정이다.

()대한인터넷신문협회 이치수 회장은 이번 행사와 관련하여 “‘2017 INAK사회공헌대상은 사회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뤄 바람직한 청소년상(靑少年像)을 정립하는데 귀감이 되는 자와 지역과 국가 발전에 공헌한 공로자를 찾아 그들의 헌신적인 삶을 널리 알리고 또한 정의롭고 행복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마련된 상이라며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