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농림축산식품부 ․ 한식재단, ‘관람’에서 ‘체험’으로, 스페인 ‘2017 마드리드 퓨전(Madrid Fusion 2017)’ 참가

현지인 대상 한식 쿠킹클래스 및 한국 전통장류 활용 한식 시연


신선한 채소와 전통 발효장류를 활용한 한식을 선보이고 현지인 대상 한식 쿠킹클래스 개최로 세계인을 위한 건강식의 미래 제시

 

농림축산식품부, 한식재단은 23일부터 25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되는‘2017 마드리드 퓨전(Madred Fusion 2017)’에 참가해 전 세계 식품업계 관계자들에게 된장, 고추장 등 전통 발효장을 활용한 한식을 선보인다. 2003년부터 시작되어 올해 15회째를 맞은 마드리드 퓨전은 세계 최고의 셰프들과 식품 외식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첨단 요리 기법과 트렌드를 소개하고 전망하는 행사로 식품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행사 중 하나이다.


이번 마드리드 퓨전에서는 신선한 채소와 발효장류의 만남(, fermented condiments)’이라는 주제로 참가해 다양한 채소류와 간장, 된장 등 전통 발효 장을 활용한 메뉴를 선보인다.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운영되는 한식 홍보 부스에서는 외국인에게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한국 전통 발효장류를 거부감 없이 접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한 메뉴로 매일 시식회를 진행한다.


첫째 날은 된장을 활용한 소스로 양상추, 배추 등 아삭한 식감이 매력적인 채소를 무쳐 낸 된장 채소 무침, 둘째 날에는 얇게 저민 오이를 된장에 무친 제철나물과 밥을 말아낸 채소장아찌 오이쌈밥을 소개한다.


행사 마지막 날인 25일에는 메인 시연행사가 예정되어있으며 마드리드 퓨전 행사장 내 다목적홀에서 한식레스토랑 다담의 정재덕 셰프가 감자, 우엉잎, 깨 등 다양한 채소로 만든 부각에 고추장, 간장으로 풍미를 더한 건강 부각요리를 시연한다.


마드리드퓨전 참가 홍보와 더불어, 스페인한국문화원의 요청에 따라 24일에는 현지인 대상 한식 쿠킹 클래스도 진행한다. 이는 관람하는 한식에서 체험하는 한식으로 해외홍보를 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