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효과 입증 없는 AI예방약 12주 투약, 국민건강 위협하는 도박

위성곤 의원 "타미플루 효과 6주까지만 입증, 하지만 정부는 지침 개정해 12주 허용"

효과 입증 없는 AI예방약 12주 투약, 국민건강 위협하는 도박

위성곤 의원 "타미플루 효과 6주까지만 입증, 하지만 정부는 지침 개정해 12주 허용"

타미플루 6주 이상 투여자도 살처분 등 참여 허용, 생명권 담보한 도박

인력교체로 6주 초과 예방약 투여 막고, 기존 인력 모니터링 해야

 

정부가 조류 인플루엔자(AI) 예방약인 타미플루의 효과가 6주까지만 증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AI인체감염 우려가 높은 살처분 참여자 등에게 12주까지 투약을 허용해 국민의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서귀포시/사진)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

,AI 인체감염 예방을 위한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 투약지침이 지난 20161226일 변경됐다.

 

개정 전 타미플루 투약지침은 6주 이상의 연속 복용 금지였다. 그런데 변경 지침은 총 투약기간을 12주까지 허용했다. 다만 6주 연속 투약한 경우 1주간 휴약한 후 다시 6주간 사용하도록 했다. 타미플루는 인플루엔자 치료약과 예방약으로 동시에 쓰이는데 예방효과는 예방약을 복용하는 동안에만 지속되며 AI는 지난 해 1117일 최초 확진돼 살처분이 시작됐다. 질병관리본부는 변경 이유에 대해 "식약처 허가사항을 고려해 지침을 개정했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쳤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보면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타미플루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6주까지만 증명되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는 임상시험이 6주까지만 이뤄졌기 때문이다. 예외적으로 면역장애환자(장기이식 환자 등)의 경우는 12주까지 임상시험이 이뤄졌다. 그 결과 안전성은 확인됐지만 유효성, 즉 예방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타미플루를 투여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의 감염 환자비율에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12주 임상시험이 없는 비 면역장애환자(건강한 사람)의 경우는 임상시험이 없어 안전성 및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입장이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면역장애환자의 시험 결과 등을 토대로 건강한 성인에서 12주 투여하더라도 특별한 안전성 우려는 없을 것으로 예상 된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관련 전문가자문회의는 지난해 1216일 처음 열렸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1223일 전화로 의견을 묻는 유선회의를 통해 지침이 개정됐다.

위성곤 의원은 "대체약이 없어 긴급한 치료를 위해 불가피한 경우가 아님에도 일부 전문가의 전화자문에 의존해 AI 예방약을 효과가 입증된 기간을 넘어 사용하도록 한 것은 국민의 생명권을 담보로 한 위험한 도박"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살처분 참여자에게 6주를 초과해 AI 예방약을 투여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을 넣을 수 있다면 인력을 대체하는 것이 맞다"며 "이전에는 보건소 등의 질의에 6주 초과 사용은 안 된다는 답변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하지만 현장 방역 인력이 부족해 6주의 투약기간으로는 안 된다는 축산부서와 일선 보건소의 민원이 있어 AI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 전문가 의견을 들어 지침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위성곤 의원은 "AI 방역인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방역당국의 무능한 대처가 국민의 건강권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정부는 인력교체로 6주 초과의 예방약 투여를 막고 기존 인력에 대한 보다 철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