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동아시아 농업네트워크…‘동아시아농업회의’ 출범

한국농어촌공사와 한국동아시아농업협회 주최로 동아시아농업회의 더-K호텔에서 창립 컨퍼런스 개최

동아시아 농업네트워크동아시아농업회의출범

28일 창립 컨퍼런스 개최, 다자간 농업협력사업·민관협력 강화

 

동아시아 국가의 다자간 농업·농촌개발 협력기구인 동아시아농업회의28일 창립됐다. 동아시아농업회의는 이날 서울 The-K 호텔에서 창립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농업·농촌 분야 네트워크를 강화하기로 다짐했다. 회원국은 한국, 중국,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카자흐스탄 등 총 12개국으로 각국의 농업 관련 단체와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동아시아농업회의는 기존에 한국과 중국, 한국과 몽골 등 양자 간에 진행되던 협력의 틀을 확장해 다자간 사업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농업관련 기업에 농업·농촌 개발 관련 투자정보를 제공해 민관협력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개회식에 참석한 정승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동아시아 국가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분야가 바로 농업이라며 동아시아농업회의가 각국의 경험,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네트워크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원철희 한국동아시아농업협회 회장은 중국 랴오닝성 푸신시의 농장에 한국의 유기농법과 ICT를 활용한 스마트 농법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있다면서 보다 현대화된 영농방식 등을 통해 동아시아 농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동아시아농업회의의 창립 목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한국농어촌공사와 한국동아시아농업협회가 공동주최한 동아시아농업회의 창립컨퍼런스에는 바바르 몽골 국가안전보장회의 의장, 다탈리네스 캄보디아 공주 등 각국 대표와 국회 농해수위 김영춘, 홍문표, 김현권 의원, 이해찬 국회의원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압박 규탄"... 농민들 반발 먹혔나?
전국한우협회(회장 민경천)는 7월 30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측이 30개월령 이상 쇠고기 수입을 압박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한우협회는 “이번 미국의 협상태도는 상호주의가 아닌 일방적·강압적 압력”이라며, “30개월령 쇠고기 수입을 강행하려는 시도는 검역주권을 침해하는 불공정 협상으로,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 한미 FTA는 사실상 무력화됐고, 내년부터 적용될 관세 0%도 휴지조각이 된 것이다”라며 “이번 한미관세협상으로 산업계에 적용될 관세율만큼 미국산 쇠고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 세계에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며, “자국 농업을 소홀히 한 대가는 결국 우리 후세가 짊어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규탄 발언에 나선 한양수 부회장은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지금까지, 농업은 항상 통상 협상의 희생양이 되어 왔다”며, “FTA 체결국이 59개국으로 늘어난 지금도 농축산물이 가장 먼저 협상 테이블에 올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