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도매시장 기반, 농수산식품 수출 시동

수출센터 개소식및 수출품컨테이너 선적

도매시장 기반, 농수산식품 수출 시동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서울특별시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박현출)가 추진하고 있는 도매시장 기반, 농수산식품 수출에 시동이 걸렸다. 그동안 도매시장의 수출유통인을 발굴하고 외부수출업체를 유치하여 수출유통인협의회를 구성·운영하였고, 공사 구청사에 패킹·작업장과 저온창고를 갖춘 수출센터를 구축하여 왔다.


도매시장기반, 수출유통인 중 리스마켓팅은 1022일 단감을 베트남에 시범 수출했으며, 향후 50톤의 추가 수출이 예상되고, 리마글로벌은 111일 인도네시아에 과일을, 1110일에는 홍콩에 20ft 컨테이너의 과일, 채소를 수출했다. 하루 티앤씨는 113일 몽골에 43개 품목, 3.6톤의 과일, 채소를 수출했다.


하성기업은 113주부터 대만에 배추를 매주 40ft컨테이너씩 수출할 계획이며, 에이엠지코리아는 절임배추를 미국에 수출할 계획이다. 파란해는 매주 40ft 컨테이너 분량의 멸치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명성농산에서는 기존 수출국인 미국, 싱가폴에 이어, 캐나다에 깻잎을 수출했고, 배추, , 고구마 등의 추가수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서울시 송임봉 도시농업과장은 지방정부차원에서 도매시장 기반, 농수산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해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사 수출지원TF 관계자는 공사 구청사에 구축한 농수산식품 수출센터를 1110일부터 본격 가동함에 따라, 도매시장 기반 수출이 보다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도매시장기반, 농수산식품 수출이란 다품목 구색수출에 적합한 도매시장의 장점을 살려, 수출되는 모든 농수산식품을 도매시장(가락, 강서)에서 구매하는 등 도매시장을 수출 전진기지로 활용하는 취지이며, ‘단품목 대량수출에 적합한 산지기반 수출과는 상호보완적 개념으로, 2016년부터 서울특별시와 공사가 추진하는 신규 사업이다.


박현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은 농수산식품 수출은 도매시장 활성화는 물론, 우리 농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하면서, 수출센터가 수출의 전진기지로써 출발점이 되어, 시설현대화 이후 도매시장의 주요 기능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