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행복한 도농협동, ‘마음이’와‘이음이’랑 함께해요!

농협,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 캐릭터 선보여

농협,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캐릭터 선보여

농가소득 증대와 농촌활력 제고를 위한 지역특산물 홍보 서브캐릭터도 개발 예정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1111농업인의 날을 앞두고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 운동의 홍보대사로 활약할 캐릭터 한 쌍을 선보였다. 환한 미소를 지으며 반갑게 손인사를 건네는 마음이이음이가 바로 두 주인공이다.


먼저 두 캐릭터의 생김새와 꾸밈새를 살펴보면 마음이의 네모난 얼굴과 이음이의 동그란 얼굴은 마을의 초성인 ’(미음)’(이응)을 각각 형상화했다. 마음이가 쓴 밀짚모자는 고향의 푸근한 정서를, ‘이음이가 꽂은 잎사귀는 농촌의 새로운 활력을 상징한다. ‘마음이가슴의 벼이삭 그림과 이음이가슴의 하트 모양은 농심(農心)을 품고 국민 곁으로 다가가겠다.’는 농협의 의지를 친근하게 표현한 것이다.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운동은 기업 대표와 지자체 단체장 등이 '명예이장'으로, 소속 임직원이 '명예주민'으로 참여해 농촌마을과 인적·물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펼침으로써 도시민에게는 가고픈 또 하나의 고향마을’, 농촌주민에게는 활기찬 공동체의 복원이라는 결실을 안겨주자는 운동이다. 농촌과 도시가 서로의 가치를 주고받는 쌍방향적 협동 전개하는, 도농협동 운동의 진일보한 모델로 평가받는다.


농협이 국민 곁으로 한층 가까이 다가가려면 새로운 가교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캐릭터 개발을 위한 자료 조사에서부터 이름 선정까지 3개월, 1명에 달하는 농협 임직원과 일반인 특히, 캐릭터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유치원·초등학생 및 캐릭터 상품의 가장 강력한 구매집단인 20대의 의견을 적극 청취해 시안 선호도 조사 및 이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마음이이음이가 첫 선을 보이는 무대는 11()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개최되는 제21회 농업인의 날 행사다. ‘마음이이음이마스코트가 등장해 서울 시민들에게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 운동을 알리는 한편 에코백 등의 기념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스마트폰용 이모티콘도 머잖아 공개할 계획이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