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햇사레복숭아’ 브랜드 가치 1,688억원까지 '껑충'

아이콘마케팅연구소, 햇사레과일공동사업법인 최고 농산물브랜드 위상 재평가 받았다!

햇사레복숭아브랜드 가치 1,688억원까지 '껑충'

아이콘마케팅연구소 “햇사레과일공동사업법인 최고 농산물브랜드 위상 재평가 받았다

안성기 대표 브랜드도 함께 관리해 상자당 8,885원 더 받아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

햇사레는 소비자 10명중 8명이 아는 국가대표 농산물 브랜드로 자리매김

 

햇사레 복숭아는 국내 소비자 80%가 알고 있는 가장 인지도가 높은 농산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면서 브랜드 가치 1,688억원을 달성했다.

햇사레과일조합공동사업법인(대표 안성기)이 아이콘마케팅연구소(대표 김대수)에 의뢰하여 실시한 햇사레 브랜드가치 측정연구에서 이같이 분석됐다.

 

이 연구에 따르면 햇사레 복숭아의 브랜드 자산 가치가 처음 평가된 2007954억원에서 10년 만인 201576.9% 증가하여 1,688억원을 돌파한 것이다. 이 금액은 2015년 햇사레과일조합공동사업법인의 연간 매출액 731억원보다 무려 2.3배나 높은 것이다.

특히 이같은 햇사레의 브랜드 가치로 인해 햇사레 복숭아는 브랜드 이름이 없는 소위 ‘No브랜드복숭아보다 kg1,974원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이는 20071,674원 보다 17.9% 상승한 것으로 햇사레 복숭아 4.5kg 한 상자를 판매할 때마다 No브랜드나 다른 복숭아 브랜드에 비해 최고 8,885원을 더 받는 것으로 햇사레 브랜드가 농가의 소득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소비자들은 가장 먼저 떠오르는 복숭아 브랜드로 절반이 넘는 53%가 햇사레를 꼽았으며, 응답자의 80%는 햇사레 브랜드를 들어보았거나 잘 안다고 응답하여 햇사레 복숭아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가장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가진 대한민국 대표 복숭아 브랜드임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주 구입하는 복숭아 브랜드가 있다고 응답한 97명의 소비자들은 자주 구입하는 복숭아 브랜드로 햇사레(79%), 조치원(4.1%), 하늘작(3.1%), 장호원(3.1%) 순이라고 응답하여 햇사레 복숭아에 대한 고객충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조사는 햇사레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의 성장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실시된 햇사레 브랜드 가치평가 방식과 같은 이산선택실험법 (Discrete Choice Experiment)을 이용하여 8월말 9월초까지 서울시 거주 여성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하였다.

한편, 농촌진흥청 박성호 박사 팀이 2009년 농업경제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농산물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측정 연구에서 2007년 기준으로 햇사레복숭아 9542400만원, 임금님표이천쌀 896700만원, 횡성한우 6147600만원의 브랜드평가를 받는 등 브랜드 관리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유통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