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앞으로 가축질병 선별적으로 살처분해 나간다

국회, 산지축산농장 활성화… 내년 예산 14조 431억원 확정



국회는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예산 및 기금의 총지출 규모를 14조 431억원으로 확정하였다. 이는 정부가 제출한 14조 940억원 대비 509억원 감액 조정된 규모이며, ‘14년 예산과 대비하여 4,060억원(3.0%) 증가한 수준이다.


가축질병의 살처분방식 개선(예방적→선별적) 등 방역체계 개선 등에 따라 지급소요의 감소가 예상되는 살처분보상금, 예비비적 성격의 쌀소득보전변동직불금 등 8개 사업에서 3,839억원을 감액하는 대신, 쌀관세화, FTA 등 농업의 시장개방 대응, 재해대응 SOC 투자 등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및 농업인 소득·경영안정을 위해 38개 사업에서 3,330억원을 추가 증액하였다.


국회에서 확정된 농식품부의 ‘15년 예산의 특징을 살펴보면, 농업의 부가가치 제고 및 농가의 농외소득 증대를 위해 농촌융복합산업(127억원), 산지축산형농장(50억원) 등 농업생산과 가공·유통·관광 등을 연계한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예산을 확대하고, 농식품의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고 현안문제 해결을 위해 ICT융복합(323억원), RD(2,242억원), 생명산업(568억원) 등 농식품의 新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예산 지원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쌀 시장 개방에 따라 농가의 소득·경영안정을 위해 이모작 직불금의 단가인상(40만원/ha→50, +151억원), 농지규모화를 위한 농지매매 단가인상 및 물량확대(3만원/3.3㎡→3.5, +535억원), 정책자금 금리인하(농기계구입자금 2.5%→2 등 131억원) 등을 추진하고, 쌀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들녘경영체 육성(+5억원), 쌀소비활성화(+5억원), 고품질쌀유통활성화(+3.9억원), 농산물원산지관리(+4억원), 농기계임대(+10억원) 등에 지원하기로 하였다.



영연방FTA에 대비하여 축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농가사료직거래활성화(+500억원), 축산자조금(+10억원), 축산경영종합자금(3%→2), 긴급경영안정자금(3%→1.8) 등 축산 관련 자금 금리인하(+43억원) 등을 추진하였다.


빈발하는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농업인의 영농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수리시설개보수(+190억원), 배수개선(+210억원), 대단위농업개발(+130억원), 다목적용수개발(+250억원) 등 농업의 생산기반 정비를 위한 사업 투자를 확대하였다. AI 등 가축질병의 재발방지 및 발생시 조기종식을 위하여 시도가축방역(+38억원), 축사시설현대화(+1억원) 등에 지원을 확대하였다.


농가의 소득안전망 확충을 위해 밭농업직불의 적용품목을 현재 채소류 26개 품목에서 잡곡·채소·과수 등 밭작물 전체 품목으로 확대하여 ha당 25만원씩 신규로 지원하고, 기존 26개 품목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ha당 40만원을 지원(+801억원)하는 등 농업 직불금을 확대하기로 하였고, 농촌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령·사고농가 등에 가사 및 영농도우미 지원(+2.1억원), 농기계등화장치 지원(+3억원) 등 배려농정을 위한 맞춤형 복지 지원을 확대하였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