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온실 짓기 전, 그늘 분석 프로그램 이용해 보세요”

농진청, 계절-시간-방향따라 분석 … 생산성 예측에 도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단동 비닐 온실 내부에 발생하는 그늘을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는  ‘온실 그늘 분석 프로그램(GHModeler-shade)’을 개발했다.

1%의 광량(빛) 증가는 1%의 수량 증대로 이어진다고 할 만큼 온실 내부로 투과되는 빛의 양은 농산물 수확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처럼 온실을 지을 때 그늘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동안 농가에서는 온실을 완성하고 난 뒤에야 내부 그늘을 파악할 수밖에 없어 불편함이 컸다.

이번에 개발한 온실 그늘 분석 프로그램은 시설의 방향, 위도, 골조, 차광막, 계절과 시각에 따라 발생하는 그늘의 양상을 3차원 모의실험(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준다.

 

온실 전체 또는 임의 지점에서의 입사각, 일조(햇빛 비침) 분석 결과와 함께 골조율과 그늘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골조율은 온실 바닥 면적에서 수직으로 투영된 골조 그림자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그늘지수는 태양의 입사각이 변하면서 발생하는 그림자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작물 종류를 고려해 비닐 온실 내부의 작물 배치를 설정한 뒤, 빛 비침을 분석할 수도 있다.

 

연구진이 내재해형 단동 비닐 온실(10-단동-5형)을 남북 방향으로 설치한 결과, 그늘지수는 12월 중순 오전 8시, 10시, 오후 12시에 각각 12.7%, 14.3%, 21.8%로 나타났다. 동서 방향으로 설치하면 9.3%, 14.5%, 14.1%였다.

예를 들어 키 작은 작물을 재배할 경우, 동일한 온실 규격을 동서 방향으로 설치한다면 남북 방향보다 내부 그늘이 적게 발생해 작물 생육에 더 유리하다.

 

온실 그늘 분석 프로그램은 ‘농사로 누리집’에서 누구나 쉽게 내려 받아 이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이강진 소장은 “온실 내부에 발생하는 그늘을 미리 파악하는 것은 작물 재배 계획을 수립하거나 생산성 예측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이를 위해 온실 그늘 분석 프로그램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체험휴양 ‘스타마을’ 선정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농촌체험휴양마을을 대상으로 국민과 함께 ‘스타(⋆)마을’ 20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스타마을’ 선정은 각 지역의 고유한 특색과 자원을 바탕으로 차별화 전략을 가지고 있는 마을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농촌관광과 농촌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시작되었다. ‘스타마을 20선’은 지역 고유의 자원 활용, 체험콘텐츠의 독창성·차별성, 숙박·식사의 질, 스토리텔링, 타 관광자원과의 연계 등의 요소를 전문 심사위원단이 평가하고 국민 온라인 투표를 거쳐 전국의 1200여개 농촌체험휴양마을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20개 마을을 선정하였다.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약선밥상과 핀란드식 사우나를 체험할 수 있는 ‘달래촌마을’을 포함하여 전통 다랭이논의 멋진 경치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두모마을’, 국내 최초 치즈체험을 실시한 ‘임실치즈마을’, BTS의 영상 및 화보 촬영지인 ‘오성한옥마을’ 등이 선정되었으며, ‘스타마을 20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촌여행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웰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앞으로 선정된 마을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홍보 콘텐츠 제작, SNS 홍보를 집중지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촌공사, '극한폭우' 선제대응으로 2차 피해 예방 눈길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기록적인 호우에도 불구하고 ‘사전 대비’와 ‘선제 대응’으로 저수지 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월류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는 등 재난 대응에 총력을 다했다고 밝혔다. 공사는 이번 호우에 앞서 저수지에 대한 정기 안전 점검과 호우 대비 사전점검을 진행했으며, 저수지 물넘이에 사전 방류 시설을 설치해 집중 호우 등을 앞두고 수위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집중 호우 시 저수지에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류 공간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 홍수기에 저수지별 적정한 관리 수위를 유지하면서, 집중호우가 예보될 때 저수지 물을 추가로 방류해 수위를 조절했다. 이러한 조치로 공사는 집중호우 전 평균 저수율을 58.8% 수준으로 관리하여 약 12억 톤 규모의 저류 공간을 확보했으며, 극한 호우 기간 중 한 건의 월류·붕괴 사고 없이 저수지 기능을 유지했다. 공사는 집중호우 기간 동안 저수지에 설치된 수위 계측기와 CCTV 등을 활용해 저수지 수위와 시설 상태를 상시 점검해 위험 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감시했다. 또한 자동 알림체계를 준비해 저수위가 기준치를 초과한 저수지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