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업전망…“농업생산액 감소↓ 농가소득은 소폭 증가↑”

농업전망대회, 농업생산액 1.5% 감소한 49조 4천420억원·농가소득 1.1% 증가한 4천6만원 전망
농업전망 영남대회는 1월29일 경북도청, 호남대회 1월31일 전북도청에서 열려
농업소득은 소폭 감소하나 농가소득은 늘어 4,000만 원대 진입 예상
쌀과 한우의 가격 상승 폭이 컸던 전년보다 감소하나, 2017년 대비 2.6% 증가

현/장/중/계…농업전망대회 2019년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

2019년 농축산물 수입 전년보다 증가하나, 수출 증가폭 더 클 것으로 전망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75.8억 달러, 수출액은 2.2% 증가한 65.5억 달러 전망

단경기 쌀 가격 수확기보다 4.4% 하락, 금년산 면적 0.7% 감소 전망

2019년 상반기 엽근채소 가격 전년 대비 약세 전망-고추면적 증가하고 마늘양파 감소 전망

 

제22회 농업전망 2019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서울대회가 지난 23일(수), 잠실 롯데호텔(1,800여 명 참석)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서울대회 프로그램 구성은 제1부2019년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특별강연은 포용국가와 농업‧농촌의 가치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이 발표했고, 2019년 농정방향과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이 발표했다.

또, 2019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은 박기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장이 발표했다.

제2부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를 향한 농정의 이정표 발표 및 토론으로 이어졌다.

1분과는 농업‧농촌의 새로운 가치(직불제, 일자리, 농촌유토피아), 2분과는 건강한 먹거리 해법(푸드플랜, 표시정책, 미래기술기반 먹거리 산업)이다.

 

3분과는 농산업, 새로운 기회(신기후체제, 농업혁신시스템, 빅데이터 활용), 4분과는 평화와 세계화, 우리의 과제(대북 농업협력, 국제통상, 중국의 혁신)이다.

제3부 산업별 중장기 미래 발표 및 질의응답 방식으로 농림축산물 40개 품목의 2019년 및 중장기 수급 전망 등이 소개됐다.

1분과는 곡물, 2분과 과일‧과채‧임산물, 3분과 채소, 4분과 축산으로 진행됐다.

농업전망 2019 주요 전망 내용을 간추려 봤다.

◈2019년 농업생산액 전년보다 1.5% 감소한 49조 4,420억 원 전망

쌀과 한우의 가격 상승 폭이 컸던 전년보다 감소하나, 2017년 대비 2.6%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30조 4,840억 원 전망된다.

곡물 생산액 쌀‧감자 가격 크게 높았던 전년 대비 4.7% 감소, 채소도 1.4% 감소 예상된다. 반면, 과실류 생산액 전년보다 13.0%, 특용‧약용도 8.6% 증가 전망이다.

 

축잠업 생산액 전년 대비 3.8% 감소한 18조 9,580억 원 전망이다.

닭 생산액만 0.5% 증가하고, 한육우 1.4%, 돼지 7.9%, 계란 1.8%, 오리 6.9% 감소 예상된다.

 

◈2019년 농가소득 전년 대비 증가, 4,000만 원대 진입 전망

 

농가소득 전년보다 1.1% 증가한 4,006만 원 전망이다. 농업소득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1.9% 감소한 1,052만 원 예상된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 비중 하락 예상(`18년 27.1% → `19년 26.3%)된다. 농외소득은 겸업소득과 사업외소득 증가로 전년보다 4.4% 증가한 1,758만 원 예상된다.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1.3% 감소하는 반면, 비경상소득 0.9% 증가가 예상된다.

변동직불금에 대해 통계청은 농업소득에 포함하고 있으나, 연구원에서는 이전소득에 포함하고 있다.

◈농가인구 감소세 2019년에도 지속되나, 농림어업취업자수 증가 전망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1.7% 감소한 234만 명, 농가호수 1.4% 감소한 101만 호 전망이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보다 0.4%p 상승한 43.3% 예상된다.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로 이어져 전년보다 1.5% 증가한 136만 명 전망된다.

2019년 농업구입 가격지수는 전년보다 상승한 반면 농가판매 가격지수는 하락할 전망이다.

 

농업구입가격은 경영비 상승 영향으로 전년보다 소폭(0.5%) 상승 예상된다. 농가 판매가격은 곡물류와 축산업 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2.3% 하락 전망이다. 2019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 이어질 전망이다. 경지면적은 전년보다 0.8% 감소한 159만 ha, 재배면적 0.9% 줄어든 162만ha가 예상된다.

농가인구당 경지면적 전년 대비 0.8% 증가하여 ‘19년 67.9a 전망이다. 2019년 가축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전망된다. 가축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2.4% 증가한 192백만 마리 예상되고 있다. 2019년 농축산물 수입 전년보다 증가하나, 수출 증가폭 더 클 것으로 전망이다.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75.8억 달러, 수출액은 2.2% 증가한 65.5억 달러 전망이다.

수출액 증가폭 확대로 무역수지 적자 전년 수준 예상된다.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수입과일 소비 증가, 곡물‧채소 감소 전망이다.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와 수입과일의 소비는 연평균 각각 1.3%, 2.2%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는 각각 0.7%, 0.9% 감소 예상되고 있다.

 

◈엽근채류 가격 약세 전망

 

▶곡물류= 단경기 쌀 가격 수확기보다 4.4% 하락, 금년산 면적 0.7% 감소 전망이다.

2018년산 단경기(7~9월) 쌀 가격은 공급 물량이 충분하여 수확기 가격(19만3,570원)보다 4.4% 하락한 18만 5천 원/80kg 내외 전망된다.

 

2019년산 쌀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0.7% 감소한 73만 2천 ha 내외 예상된다.

2019년 콩 재배면적 전년 대비 3.0%, 감자도 1.8% 증가 전망이다.

콩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3.0% 증가한 5만 2천 ha 내외, 감자는 1.8% 증가한 2만 3,800ha 내외 예상되고 있다.

 

▶축산류= 2019년 주요 축산물 가격 대체로 전년 대비 약세 전망된다.

한우 사육 마릿수는 송아지 생산 늘어 전년보다 1.8% 증가한 299만 마리 예상된다.

돼지 사육 마릿수는 후보돈 입식 늘어 전년보다 1.4% 증가한 1,153만 마리 예상이다.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병아리 입식 늘어 전년보다 1.3% 증가한 7,249만 마리 예상된다. 계란 생산량은 산란계 늘어 전년 대비 3.4% 증가 전망이다.

 

◈고추면적 증가하고 마늘‧양파 감소 전망

 

 

▶노지채소류= 2019년 상반기 엽근채소 가격 전년 대비 약세 전망이다. 엽근채소 2019년 상반기 가격은 겨울작형 생산 늘어 전년보다 낮을 전망이다. 배추 시설봄작형 면적 감소, 전체 재배면적 전년 대비 5.1% 감소가 예상된다.

2019년산 고추 재배면적 전년보다 증가, 마늘과 양파는 감소될 전망이다.

 

고추 재배면적은 가격 강세 영향으로 전년보다 2.1% 증가 전망이다.

마늘‧양파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증가하나, 전년보다 각각 2.3%, 15.0% 감소 예상이다.

▶과채류= 2019년 과채류 생산량 전반적으로 전년 대비 증가 전망이다.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1% 감소하나, 단수 늘어 생산량은 3.9% 증가가 예상된다.

오이‧호박‧딸기‧토마토 생산량은 증가하고, 수박‧풋고추는 감소될 전망이다.

 

▶과일류= 2019년산 과일류 생산량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증가될 전망이다.

사과, 배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0.8%, 0.9% 감소하나, 생산량은 기상이변으로 단수가 크게 줄었던 전년에 비해 18.1%, 9.9% 증가가 예상된다.

 

포도의 경우 가격이 높은 샤인머스캇 재배 증가로 전년보다 1.3% 확대될 전망이다.

소비패턴 변화로 과일 수입량은 전년 대비 2.7% 증가가 예상된다.

 

▶국제곡물류= 2019/20년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가 전망되고 있다.

2019/20년 세계 곡물(밀, 옥수수, 콩, 쌀) 생산량 및 재고량 전년 대비 각각 2.7%, 2.1% 증가가 전망된다. 2019년 세계 곡물가격은 재고량 증가로 전년보다 하락이 예상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 노인돌봄서비스..."가용 자원 확대해야"
돌봄은 노화로 인해 건강과 기능이 쇠퇴하는 노인을 위한 핵심적인 사회서비스이다. 특히 농촌의 경우, 돌봄 수요가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70대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공적 노인돌봄서비스는 농촌 현실에 적합하지 않고, 노인돌봄서비스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접근성 개선, 농촌 노인 실수요에 기반한 돌봄서비스 기획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이 ‘농촌 노인 맞춤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 실태와 정책 과제’ 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는 농촌 노인의 돌봄 실태를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검토하고 쟁점과 한계를 도출함으로써 농촌 노인에게 돌봄이 더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모색했다. 연구를 진행한 김수린 부연구위원은 “농촌 노인의 여건을 고려한 돌봄서비스 체계가 구축·제공되어야 한다”고 밝히며, “농촌에 부족한 돌봄서비스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지역주민의 참여 지원과 열악한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기술 기반 돌봄서비스 도입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돌봄서비스 여건이 가장 취약한 농촌의 면 지역을 대상으로 농촌공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