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자조금, ‘연말 홈파티 빛내줄 한우요리’ 소개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실속부터 비주얼까지 다양한 홈파티
- 합리적인 한우 뚝심(정육) 부위로 실속있게 즐기는 스테이크, 파스타, 굴라쉬
- 한우 특수 부위 활용, 이색적 비주얼로 인증샷을 부르는 하트 부채살 스테이크, 한우 케이크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앞두고 외식 대신 합리적인 가격으로 집에서 편안하게 즐기는 홈파티를 계획하는 이들이 많다. 이번 홈파티는 맛과 영양가는 물론,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한우를 테마로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한우 뚝심(정육) 부위를 활용한 요리부터 한우 특수 부위를 활용해 이색적인 비주얼로 인증샷을 부르는 메뉴까지 다양한 연말 홈파티 한우 메뉴를 소개한다.

 

 

◆ 가격·맛·비주얼 모두 갖춘 홈파티 대표 메뉴 ‘한우 스테이크’

맛은 물론 비주얼도 훌륭하고 와인과도 잘 어울리는 스테이크는 홈파티의 대표적인 메뉴이다. 스테이크용 고기로 채끝, 등심, 안심 등 구이용 부위를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한우 정육 부위인 앞다리살과 보섭살을 이용해도 부드러운 식감에 맛 좋은 스테이크를 만들 수 있다.

 

보섭살은 다소 생소한 부위일 수 있으나 소의 엉덩이 부근에 위치한 부위로, 운동량이 많지 않아 스테이크용으로 활용하기 좋다. 연말을 맞아 소중한 사람에게 특별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면 농협 라이블리에서 판매하고 있는 ‘하트 부채살 스테이크’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다.

 

◆ 스테이크와 찰떡궁합! 한우 설도를 활용한 ‘매콤 한우 라구 볼로네제 파스타’

한우 설도 부위를 활용한 ‘매콤 한우 라구 볼로네제 파스타’는 스테이크의 기름진 맛을 잡아줘 함께 먹기 좋다. 굽고, 찌고, 소스에 절이는 세 번의 조리과정을 통해 만든 매콤한 한우 토마토 스튜는 한우 설도 특유의 식감과 감칠맛이 풍부하게 느껴진다. 이 매콤한 양념의 스튜를 파스타 면에 곁들이면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할 만한 맛이기 때문에 홈파티 음식에도 제격이다.

 

◆ 몸을 뜨끈하게 녹여줄 매콤한 국물요리 ‘한우 사태 굴라쉬’

추운 날씨에 걸맞는 뜨끈한 국물 메뉴로는 ‘한우 사태 굴라쉬’를 추천한다. 굴라쉬란 소고기, 양파, 고추, 파프리카 등으로 만든 매운 수프로 헝가리 전통 음식인데, 매콤한 맛이 나는 국물요리로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도 잘 맞는다. 단백질과 육향이 풍부하며 쫄깃한 식감의 한우 사태와 함께 아삭거리는 채소가 모여 맛의 조화는 물론 알록달록한 재료들의 색감이 어우러져 홈파티 메뉴로도 제격이다.

 

 

◆ 눈으로 즐기고 메인 요리로 먹는 SNS 인증샷 감성 자극 ‘한우 케이크’

홈파티에 케이크가 빠질 수 없다. 디저트를 위한 케이크도 좋지만, 디저트 배가 따로 없어 후식으로 먹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눈으로 즐기고 메인 요리로 바로 구워 먹을 수 있는 특별한 ‘한우 케이크’를 준비해 보자. 믹싱볼과 한우고기만 있으면 누구나 집에서도 손쉽게 SNS 인증샷을 부르는 한우 케이크를 만들 수 있다.

 

한우 명예홍보대사 김문정 감독은 ”맛있는 음식도 중요하지만 좋은 음악은 음식의 맛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라며, ”풍미 가득한 한우요리와 함께 행복한 분위기가 더해진 재즈나 캐롤, 뮤지컬 영화를 즐긴다면 근사하고 성공적인 연말 홈파티를 완성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