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동물보건사' 자격 육성기관 14개소 인증

- 동물보건사 인력 육성과 특례대상자 실습교육을 위한 기반 마련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공주대학교, 신구대학교, 중부대학교, 연암대학교, 장안대학교, 수성대학교, 서정대학교, 우송정보대학, 대경대학교 등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동물진료 서비스 증진과 동물간호 관련 전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입한 ’동물보건사‘ 제도 도입에 필요한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14개소를 12월 10일 인증했다.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을 신청한 20개 기관에 대한 서면·방문평가, 인증평가위원회, 인증판정위원회, 인증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쳐 14개소가 인증되었다.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공주대학교, 신구대학교, 중부대학교, 연암대학교, 장안대학교, 수성대학교, 서정대학교, 우송정보대학, 대경대학교 등 10개소는 5개 영역과 35개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부적격이 없어 인증(인증기간 2년) 되었고, 전주기전대학, 부산경상대학교, 연성대학교, 원광대학교 등 4개소는 인증평가를 받았으나, 신설기관에 해당되어 인증기간은 1년을 부여했다.
 
농식품부는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을 위해 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 및 한국동물보건사대학교육협회 주관 하에 평가인증 기준과 방법 개발(‘21.1∼3월) 및 평가인증 편람 및 지침 개발(‘21.6∼8월) 연구용역을 수행하였다.


또한,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수의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 요령을 제정한 바 있다.

농식품부 박정훈 방역정책국장은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평가인증을 통해 특례대상자에 대한 실습교육 등 제1회 동물보건사 자격시험 시행에 필요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동물보건사 특례대상자 실습교육 시스템을 통한 시험과목 강의 영상 교육, 동물보건사 자격시험 응시원서를 접수(’22.1.17∼1.21)할 계획이며, 이번에 인증을 받지 못한 기관(6개소) 등이 인증재심위원회를 통해 재심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지난 양성기관 평가인증 신청을 하지 못한 기관에 대한 신청도 추가로 받을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