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아시아종묘, 코스닥시장 진출 코앞으로

국내외서 개발기술 인정, 기능성 품종 보유로 기업가치 상승 주목

아시아종묘, 코스닥시장 진출 코앞으로

국내외서 개발기술 인정기능성 품종 보유로 기업가치 상승 주목

 

농업회사법인 아시아종묘()(대표이사 류경오)가 코스닥 입성을 예고했다기술특례상장 절차를 진행 중인 아시아종묘는 지난 10 23일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아시아종묘는 상장 예비심사 이전 나이스평가와 이크레더블 기술평가에서 AA를 받고국내 종자업계 최초로 ‘IR52 장영실상‘(기술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기업가치를 높혀왔다.

 

신용평가사의 평가대상기술은 고부가가치고품질의 채소 F1(1대 잡종)종자개발기술로 유전적으로 다른 종자끼리 교배해 우수한 형질을 나타내는 교배종을 개발상용화하는 기술이다. F1종자를 개발하기 위해 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입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고,품종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력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월동형 양배추 시장의 수입대체 효과를 구현하고 재배안정성(내한성내병성포장저장성)을 향상시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은 것이다.

 

작물재배업종 아시아종묘가 코스닥 상장 이전부터 기대주로 주목을 받는 것은 아시아종묘의 주요 품종인 양배추풋고추브로콜리배추팍초이 등을 동종 경쟁업체 제품과 비교한 결과 기능성 품종으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고 가격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종자회사 최초로 미국종자협회(AAS)로부터 우수 품종상을 받은 스위트베이비 무레드킹(적색품종어린잎채소골드인골드 컬러수박 등으로 해외에서도 기술 우위를 인정받았다천연 비타민과 혈당강하성분 AGI가 다량 함유된 미인풋고추의 경우 기능성 식품으로 농가와 소비자에 주목받고 있다. 나남길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