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귀농·귀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귀농·귀촌과 농촌복지’ 학술세미나

“귀농·귀촌 증가에 따른 적극적인 정책 대응 필요”

귀농·귀촌 증가에 따른 적극적인 정책 대응 필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귀농·귀촌과 농촌복지학술세미나 개최

 

최근 5년간 귀농·귀촌 추세(연평균 2.9% 증가)와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등을 감안하면 향후 5년간 귀농·귀촌 인구는 증가세가 전망되며, 2021년 귀농가구는 2015년보다 17.2% 증가한 약 14,000가구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11일 서울 엘타워컨벤션에서 농어촌복지포럼과 함께 귀농·귀촌과 농촌 복지학술세미나를 개최하며,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대식 KREI 선임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귀농·귀촌이 단순한 인구의 증가가 아니라 지역사회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 해소, 협력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농지 부족, 농지 규모화의 어려움 등에 관해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상진 KREI 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 참여와 재능 활용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다양한 재능과 전문성을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장 큰 장애요인인 관련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자체 단위의 일자리 중개 및 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사회적 경제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김정섭 KREI 연구위원은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과 귀농·귀촌: 사회자본론의 관점에서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귀농귀촌인이 농촌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 연결망 구조에 어떤 방식으로 편입되며,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따라 농촌 지역공동체 내부의 재조직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므로 귀농귀촌과 관련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정책들이 귀농귀촌인 개인에 대한 지원과 조력이라는 관점을 넘어서,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라는 사회적인 관점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발표 이후 정명채 통일농수산정책연구원 상임이사 주재로 이뤄진 토론에서는 강대구 순천대 교수, 강혜영 농식품부 농촌복지여성과장, 김태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유수상 농어촌복지실천가협회장, 유정길 전국귀농운동본부 귀농정책연구소장, 윤순덕 국립농업과학원 연구관, 최상구 농민신문 취재부국장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