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청탁금지법, 한우고기 소비에 부정적 영향 주는 것으로 밝혀져..

한우자조금,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결과 발표

청탁금지법, 한우고기 소비에 부정적 영향 주는 것으로 밝혀져..

한우자조금, 소비자조사 결과 한우고기 맛과 안전성지수에서 최고 점수

한우자조금,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결과 발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농촌경제연구기관인 GS&J 인스티튜트(조사기관: TNS코리아)에 위탁한 ‘2016년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보고서가 제출되었음을 밝혔다.

 

이번 조사는 유통업체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우 판매 상황, 소비자 인식 등을 조사하여 한우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유통업체 조사 결과, 한우고기 판매실적지수는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고, 특히 모든 업태에서 한우고기 판매량 감소폭이 다른 육류에 비해 크게 나타났는데, 주된 요인은 한우가격 상승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판매전망지수는 중도매인과 식육포장처리업의 경우 2015년 대비 2016년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식육판매점과 일반음식점은 감소세가 클 것으로 예상하였다.

 

 

원산지표시제 준수지수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2014년 이후 전반적으로 180 내외의 높은 수준이기는 하나 식육포장처리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태에서는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소비자가구의 한우고기 구매량은 2014년까지 전년 대비 증가세였으나(103.9) 2015년에는 감소세로 전환되었고(95.3), 2016년에도 감소세였으나(97.9) 전년 대비 감소폭은 다소 작아졌다.

 

한우고기 맛 만족도지수는 매년 다른 육류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지수 자체는 2013174.4에서 166.4로 소폭 낮아졌다.

 

한우고기 안전성 만족도지수는 3년 연속 상승세이나, 매우 안전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다소 낮아지고 있다.

 

외식소비자의 한우고기 외식소비의향지수는 2015년 전년 대비 크게 하락 후(94.7) 2016년에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금번 모니터링에서는 청탁금지법 시행(2016.9.28.)에 따른 한우고기 영향 조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16년 추석에 거래처 등 지인에게 한우고기를 선물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구는 7.4%에 불과하였고, 92.6%는 한우고기 선물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7년 추석에 지인에게 한우고기를 선물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가구의 비율은 9.4%이었으며, 별로 혹은 전혀 의향이 없는 소비자가 74.6%에 달하여 청탁금지법이 한우고기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2016년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조사로 소비자 및 유통업자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한우시장의 변화에 따른 한우농가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정부의 정책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매분기 발표하고 있는 축산 관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정보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