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가 총궐기대회서 농가들 분노폭발...비락회사와 협상결렬

비락낙농연합회, 한국야쿠르트 상대 강경투쟁 예고

비락낙농연합회, 한국야쿠르트 상대 강경투쟁 예고

비락은 농가 등에 꽂은 빨대를 뽑아라!”

농가 총궐기대회서 농가들 분노폭발, 비락회사와 협상결렬

지난 516() 비락본사(부산시 문현동) 앞에서 개최된 감축쿼터 원상복귀 촉구! 비락낙농연합회 총궐기대회에서 나온 극단적인 집회 구호다. 이날 집회에는 충북, 경북, 경남, 전남 지역 비락 납유농가 200여명 대부분 참석하여 비락회사의 농가 탄압을 성토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또한 한국낙농육우협회 중앙회 이승호 회장, 선종승 부회장, 강래수 경남도지회장, 이정열 전남도지회장이 같이 자리하여 협회중앙회, 도지회 차원의 강력한 연대와 지지선언이 이어졌다

비락낙농연합회 낙농가들은 진흥회가 설립될 당시에 비락회사의 끈질긴 설득으로 농가들이 비락에 남았다, “비락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호소하면서 쿼터를 13%나 삭감할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약속한 감축쿼터 원상복귀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비락이 농가를 상생의 대상이 아니라 이용의 대상으로 깔보고 있다며 분노했다.

이날 집회 중 진행된 비락연합회 회장단과 비락회사 간 1시간여 협상이 진행되었지만, 양측의 입장만 확인한 채 결렬되었다. 이에 분노한 낙농가들이 본사 사무실을 방문하였지만 비락 대표는 문을 굳게 잠근 채 나오지도 않은 걸로 전해졌다.


비락낙농연합회 낙농가들은 정리집회에서 비락도 문제지만 결국 모회사인 한국야쿠르트의 부도덕성이 더 큰 문제다”,“혼합분유 수입하면서 막대한 경영이익을 내고 있는 한국야쿠르트가 우리의 표적이다라고 강조하고 오늘 우리가 빈손으로 돌아가지만 한국야쿠르트 상대로 제2, 3차 강경투쟁을 하겠다라며 선언했다.

한편, 비락낙농가와 비락회사간의 갈등이 한국야쿠르트로 향할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낙농육우협회 중앙회 차원에서도 연대방침임에 따라 향후 비락연합회 투쟁이 어떤 방향으로 번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