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국마사회 유소년 승마사례 공모전

승마, 건전한 국민 레저 스포츠로 육성하기 위해 한국마사회가 나섰다!

심리적, 육체적 건강 증진에 도움 되는 승마, 부정적인 이슈로 인식 왜곡돼...

<!--[if !supportEmptyParas]--> <!--[endif]-->

최근 승마 관련 부정적 이슈로 승마에 대한 인식이 왜곡되고 국민의 승마 참여 의향이 위축되고 있다. 이에 한국마사회(회장 이양호)는 건전한 레저 스포츠로서 승마를 홍보하고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2017년 유소년 승마 감동사례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주제는 승마를 접하며 느낀 소감, 승마를 통해 변화한 나의 모습, 승마지도를 통해 얻은 교훈 등 승마와 관련한 긍정적인 사례다. 공모주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의 꿈과 희망 그리고 미래 승마나에게 승마란부문으로 나뉜다.


나의 꿈과 희망 그리고 미래 승마부문은 초고 학생, 지도자가 지원할 수 있으며, 승마를 배우면서 혹은 가르치면서 느낀 점을 자유롭게 서술하면 된다. 작성 형식은 자유양식의 산문형 에세이이며, A4 2~5, 글자크기 13포인트, 줄 간격 160%로 작성된 한글 문서로 제출하면 된다.


나에게 승마란부문은 개인 혹은 단체 누구나 지원가능하며, UCC로 자유롭게 영상을 제작하면 된다. 형식은 광고,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의 형식으로 제작된 3분이내의 영상이다.


완성된 결과물은 shk1104@kra.co.kr315() 15:00시까지 제출하면 된다. 최종 결과는 324()에 발표되며, 4월내에 시상식이 시행될 예정이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