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입주 앞두고 바짝 긴장

‘재난안전종합계획’수립 시행으로 재난・안전 사고 피해예방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이병호)는 최근 2015년 가락시장 재난안전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발표했다.


공사에서 발표한 재난안전관리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제2주차건물 소화설비 보완 공사, 시장내 소방종합 정밀점검, 일일주간월간 자체내부 안전점검 등 철저한 안전 점검 시행과 정전대비 복구 훈련, 가스누출 대처 훈련, 소방훈련 등 가락시장에서 예상될 수 있는 재난훈련을 상황별로 훈련하여 재난 사후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공사는 지난해 연말 입주자 전용시설물 일제 점검을 실시하여 자료화한 실질적 재난위해요소를 재난 취약지구로 지정하여 재난안전관리 상시점검반을 통하여 집중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 상시 점검반을 통해 입주자 전용시설(내부시설)에 대해 안전점검 서비스 요청 후 경미한 사항은 즉시 현장에서 보수하고, 중대한 사항은 보수 기술 검토 후 조치하는 등 재난 위험요소를 사전에 철저히 제거하고 있다.


공사 시설안전팀 관계자는 “2015년 올 한해도 재난 안전 사고가 없는 안전한 가락시장을 만들어 유통인과 시장 이용 고객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