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각종 농업⋅농촌관련 법안 국회처리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농민단체 "여야는 농촌회생 발전 위한 농업소득보전법 등 각종 법안 신속히 처리하라"

 

농민단체인 한농연은 "여야는 농촌회생 발전 위한 농업소득보전법 등 각종 법안 신속히 처리하라"는 내용을 담은 긴급성명을 19일 발표했다. 다음은 한농연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지난 11월 18일 있었던 제5차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회의가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났다. 이전 회의에서 농업소득보전법, 양곡관리법, 농업회의소법 등 농업계 핵심 법안에 대한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번 회의에 거는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컸다. 그러나 불필요한 여야 간 공방 끝에 또다시 파행으로 끝나 250만 농민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특히 농업소득보전법 처리가 미뤄짐에 따라 2018년 쌀에 대한 변동직불금 지급이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농정개혁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직불제 개편도 제동이 걸렸다. 공익형직불제 예산에 대한 여야 간 입장 차가 커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것은 일부 이해가 간다. 

 

그러나 농업인의 생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법안인 만큼 농촌 현장에서는 정부와 국회가 농업⋅농촌 문제에 관심이 있긴 한지, 여야 간 정쟁에 괜히 농업인이 희생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9월 1일 시작된 제20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가 100일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오는 12월 10일 종료된다. 즉 이제 약 20여 일 후면 더 이상 논의를 할 기회조차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더 우려되는 것은 여야 간 합의를 도출하지 못해 졸속으로 법안을 처리할 경우 농업계 의견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으므로 반쪽짜리 제도가 될지 모른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책임은 여야 모두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지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한농연은 농업⦁농촌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야가 따로 없음을 강조해 왔다. 따라서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각종 법안과 관련해 여야 모두 이를 정치적 도구로 삼아선 안 된다. 

 

우리 농업⦁농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지만 중점적으로 따져보고 빠른 시일 내에 합의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러한 250만 농민의 바람을 무시하고 사사로운 정쟁을 계속한다면 본 연합회 소속 167개 시⦁군⦁구 연합회는 내년에 있을 제21대 총선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그 책임을 반드시 따져 물을 것임을 분명히 경고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