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김치 급식·과일 간식 확대로 농촌 살릴 수 있다”

과일간식지원 초‧중‧고, 군대로 확대하면 4,700억 시장 생겨나

농협이 군대급식에 완제품 김치를 납품하고, 과일간식을 초·중·고교에 이어 군대에 까지 확대한다면 5만농가 농업소득에 해당하는 5,337억원에 달하는 지역경제를 창출하고, 제조·유통분야에서 일자리 6,780개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17일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은 농협중앙회가 제출한 군급식 관련 농협김치사업 현황자료를 인용해서, 2011년 국가계약법 개정으로 2016년 6월 납품이 종료된 완제품 농협김치를 다시 군납할 수 있다면 519억원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농협중앙회 식품사업부는 군납 김치와 국산 김치 단가의 차액이 평균 1kg당 1,512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지난해 군급식 김치 예산 임가공 114억원, 완제품 332억원 등 446억원을 기준으로 완제품 김치를 전량 국산 농협김치로 대체하면 187억원의 군급식 예산이 추가로 편성돼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농협중앙회는 현재 경기조합공동법인, 수안보농협, 충남 선도농협, 천북농협, 전북 부귀농협, 전남 순천농협, 여수농협, 화원농협, 경북 서안동농협 경남 웅천농협의 김치생산능력을 연간 58,510톤인데 실제 생산량은 34,808톤으로 연간 군납 완제품 김치 9,968톤을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농협중앙회는 과일간식지원이 2018년 초등 돌봄교실 151억원, 2020년 초등 1~3학년 1,000억원, 2022년 초등 전학년 2,000억원으로 늘어나고 이후 군대로 까지 확대되면 사업규모는 2,500억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현권 의원은 여기다 경찰, 소방대원으로 까지 과일간식 지원대상을 확대하면 시장규모는 4,825억원으로 커지고 제조·유통부문에서 6,513개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김현권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혁신도시 10곳을 중심으로 푸드플랜수립에 착수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서서히 로컬푸드가 지역경제와 국가균형발전, 그리고 일자리 창출과 국가 성장잠재력 강화를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앞으로 로컬푸드를 축으로 지역경제를 다지고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로컬푸드를 통해 1,000억원에 달하는 농산물 시장이 만들어지면 1만농가 농업소득에 해당하는 지역경제가 생겨나는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1만농가이면 경북 의성군 만한 농촌이 창출되는 것과 같은 성과를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한국배구연맹,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 체결
농협(회장 강호동)은 한국배구연맹(총재 조원태)과 18일 서울 마포구 한국배구연맹 대회의실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 조원태 한국배구연맹 총재, 신무철 사무총장, 배구선수 정지석과 양효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프로배구 경기와 연계한 쌀 소비 홍보 ▲연맹 소속 구단 및 선수 대상 아침밥 먹기 운동 동참 ▲농협의 쌀과 쌀 간편식을 활용한 건강한 식습관 확산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참여 ▲농협 쌀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단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농협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25 KOVO컵 프로배구대회’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한다. 대회기간 동안 '행복米밥차를 운영하고, 경기장 광고와 전광판을 활용해 쌀 소비촉진 캠페인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선수단과 팬이 함께하는 아침밥 먹기 캠페인, 다양한 현장 이벤트 등을 진행해 건강한 식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8월 18일 쌀의 날에 한국배구연맹과 쌀 소비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만큼, 많은 배구팬들이 쌀의 가치를 이해하고, 건강한 한 끼의 중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