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산림의 대동맥 ‘임도시설’ 확대해 경제자원화 실현해야!

임도가 없어 ‘기계화 산물수집’이 어려워, 주요 산림강국과 비교해 임도밀도 턱없이 낮아

임도란 산림에 조림, 숲 가꾸기, 임산물 반출, 산림재해예방 및 복구 등 산림경영·관리를 위해 산림 내 시설한 도로로 우리의 임도밀도는 주요 산림 강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로 활동하고 있는 정운천 의원(전북 전주시을)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전국 임도 19,728km를 개설해 우리나라의 임도밀도는 3.1m/ha로 목표 밀도(8.5m/ha)의 36% 수준에 불과한 실정으로 현재 임도로 목재 생산이 가능한 산림면적은 전체 산림의 12%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치산녹화(1973~1987년)의 성공으로 현재 목재 생산이 가능한 40년생 이상 산림이 65%(4백만ha)를 차지하고 있지만 임도가 부족해 기계화 산물수집이 어려워 목재자급률은 꾸준히 16%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업 선진국들은 산림경영의 최우선으로 임도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각국의 임도밀도(m/ha)를 살펴보면 독일 46, 오스트리아 45, 일본 13, 캐나다 12.8 등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10년 목재자급률 26%에서 2020년 50%로 올리기 위해 임도밀도를 두 배 이상 확충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20년 동안 1.7m/ha에 그친 것에 반해 일본은 10년 동안 13m/ha 확충을 목표로 집중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산림경영을 위해서 임도에 집중 투자가 필요하지만 산림청 예산 중 임도 예산은 7% 정도에 불과하며 항상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산림청 전체 예산 2조 1천억 원 중 임도시설 예산은 1천5백억 원으로 7.1%에 불과했다. 현재 산림청 예산으로는 매년 0.1m/ha 확충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일본의 경우 1m/ha 이상 확충되고 있는 것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운천 의원은 “산림의 대동맥인 임도를 뚫어야 우리 산림이 경제적 역할을 가능할 수 있다”라며, “과거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이룬 만큼 이제 대대적인 임도 확대를 통해 산림강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산림강국에서도 임도시설 확충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며, “임도의 경우 SOC 사업으로 국가가 집중적으로 계획하고 집행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예산편성과 집중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로열젤리 생산 꿀벌!... ‘젤리킹’ 원원여왕벌 공급 나서
농촌진흥청은 12일 지자체 꿀벌자원육성지원센터(꿀벌증식장) 5개소에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벌품종인 ‘젤리킹’의 원원여왕벌을 공급한다. 젤리킹은 2018년 농촌진흥청이 선발한 우수 꿀벌품종을 교배해 개발했다. 다년간 생산력 검정 시험과 지역 적응 시험으로 효과를 검증한 후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벌품종으로 등록됐다. 이번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이 공급하는 젤리킹은 모계, 부계 82마리 원원여왕벌이다. 원원여왕벌은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기본 여왕벌을 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1차로 꿀벌위도격리육종장에서 증식한 것이다. 젤리킹 원원여왕벌을 공급받은 꿀벌자원육성지원센터는 이를 원여왕벌로 증식한 후 젤리킹 보급 여왕벌을 생산하게 된다. 각 센터는 이르면 올해 8월 이후 젤리킹 보급 여왕벌 총 291마리를 양봉 농가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이상기상으로 양봉 농가의 벌꿀 생산성이 불안정해지면서 농촌진흥청은 양봉 농가의 다양한 소득원 확보를 위한 양봉산물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면역력 향상 등에 효과가 있는 로열젤리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양봉 농가 소득을 늘리고, 국내산 로열젤리 품질을 높이고자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로열젤리 생산 꿀벌!... ‘젤리킹’ 원원여왕벌 공급 나서
농촌진흥청은 12일 지자체 꿀벌자원육성지원센터(꿀벌증식장) 5개소에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벌품종인 ‘젤리킹’의 원원여왕벌을 공급한다. 젤리킹은 2018년 농촌진흥청이 선발한 우수 꿀벌품종을 교배해 개발했다. 다년간 생산력 검정 시험과 지역 적응 시험으로 효과를 검증한 후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벌품종으로 등록됐다. 이번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이 공급하는 젤리킹은 모계, 부계 82마리 원원여왕벌이다. 원원여왕벌은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기본 여왕벌을 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1차로 꿀벌위도격리육종장에서 증식한 것이다. 젤리킹 원원여왕벌을 공급받은 꿀벌자원육성지원센터는 이를 원여왕벌로 증식한 후 젤리킹 보급 여왕벌을 생산하게 된다. 각 센터는 이르면 올해 8월 이후 젤리킹 보급 여왕벌 총 291마리를 양봉 농가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이상기상으로 양봉 농가의 벌꿀 생산성이 불안정해지면서 농촌진흥청은 양봉 농가의 다양한 소득원 확보를 위한 양봉산물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면역력 향상 등에 효과가 있는 로열젤리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양봉 농가 소득을 늘리고, 국내산 로열젤리 품질을 높이고자 고품질 로열젤리 생산 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