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국내 유일 ‘농업경영연구’하는 농진청, 연구인력은 겨우 1%

농업인의 소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업경영연구’인력 확보, R&D 비용 늘려야

국내에서 유일하게 ‘농업경영연구’를 전담하는 농촌진흥청이 관련 인력과 비용에 대한 투자가 적어 농업인의 소득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실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농촌진흥청이 추진하고 있는 R&D 중 ‘농업경영연구’ 관련해서 예산과 인력이 형편없어 과연 국내 유일의 ‘농업경영연구’를 전담하는 기관이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다.

 

2017년 기준 농촌진흥청에서 지원하는 R&D 총예산 5천 113억원 중 ‘농업경영연구’ 예산은 51억원으로 1%대 수준이었다. 2018년의 경우 5천 257억원 중 ‘농업경영연구’ 예산은 52억원으로 작년과 같은 1%대 수준에 불과했다.

 

2015년부터 R&D 예산은 매년 적게는 0.7%, 많게는 2.8%까지 증가된 반면 ‘농업경영연구’ 예산은 R&D 총예산 대비 4년 내내 1% 수준을 넘지 못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농업경영연구’는 농업인로서의 삶과 직결되는 연구인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해 왔다.

 

이 연구는 특히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얼마만큼 올릴 것을 연구하는 게 맞는지, 농산물 판매가격 수취문제는 어떠한지, 농업경영 비용이 얼마나 줄 것인지 등 농업현장과 직결되고, 농업인의 소득과 삶의 질까지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이 융합된 ‘농업경영연구’를 이행한다면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농업인들의 경영합리화 문제, 기후온난화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생산자들의 생산 및 판매 대응 문제 등에 있어 우리 농업인들에게 가이드를 해줄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음에도 그러지 못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오 의원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농업경영연구’를 담당하는 농촌진흥청이 기존의 R&D 틀에서 벗어나 산업으로서의 농업,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농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우리 농민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돼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