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과수 구제역이라 불리는 과수 화상병 작년보다 2배 급증

올해에만 농가 손실보상금액 192억(잠정치)에 달해
기재부의 반대로 아직 연구기반시설도 마련되지 않아

과수 구제역이라 불리는 과수 화상병이 올해8월까지만 해도 지난해 2배가 넘게 급증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수 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 식물의 잎이나 꽃, 가지, 줄기, 열매가 화상을 입은 듯 조직이 검게 마르는 세균성 질병으로 일명 과수 구제역으로 불린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양수 의원(자유한국당, 강원 속초고성양양)은 10일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 과수 화상병으로 인한 매몰 처분 농장이 2016년 32개, 2017년 55개, 2018년 109개로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매몰 처분 농장이 지난해에 비해 올해 들어 8월까지만 해도 2배가 넘게 급증했고,올해 피해 농가 피해(손실보상금액)가 192억(잠정치)에 달했다. 2015년부터 합하면 총 354억(잠정치)억의 손실이 과수 농가에 발생한 것이다.

농식품부는 우리나라에서 창궐하는 과수 화상병 유전자 분석결과 모두 북미계통으로 밝혀져 2010년 이후 북미에서 사과, 배 등의 묘목이나 가지의 불법반입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양수 의원은 “검역당국은 북미에서 불법 수입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국내 유입 가능성이 있는 기주 식물(寄主植物, 초식성 곤충·애벌레의 먹이)을 차단하고 있지만, 결국 검역에 구멍이 뚫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발생지역이 올해 들어 강원지역 등으로 확산되는 것은 국내간 확산이 주요 원인일 수 있다”며, “국내 간 확산 원인이 당국의 방제나 매몰지 관리 등에 실패한 것이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질타했다.

 

현재 과수 화상병 치료제는 없으며, 단지 예방 약제만 있으며 과수농가는 예방 약제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상태다.

 

과수 화상병 등 고위험병해충의 연구기반시설(격리병해충 시험연구동)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올해에도 농진청이 요구한 97억의 연구기반시설 건립 예산이 과기정통부 반대로 정부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이 의원은 “검역당국이 불법반입이 원인이라는 변명이 아니라 검역 구멍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우선되어야 하며, 국경검역 인력 및 장비 등의 확충과 철저한 매몰지 관리가 필요하다”며, “효과있는 방제약 개발 등 과수화상병 등 고위험병해충의 연구기반시설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한국배구연맹,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 체결
농협(회장 강호동)은 한국배구연맹(총재 조원태)과 18일 서울 마포구 한국배구연맹 대회의실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 조원태 한국배구연맹 총재, 신무철 사무총장, 배구선수 정지석과 양효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프로배구 경기와 연계한 쌀 소비 홍보 ▲연맹 소속 구단 및 선수 대상 아침밥 먹기 운동 동참 ▲농협의 쌀과 쌀 간편식을 활용한 건강한 식습관 확산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참여 ▲농협 쌀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단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농협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25 KOVO컵 프로배구대회’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한다. 대회기간 동안 '행복米밥차를 운영하고, 경기장 광고와 전광판을 활용해 쌀 소비촉진 캠페인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선수단과 팬이 함께하는 아침밥 먹기 캠페인, 다양한 현장 이벤트 등을 진행해 건강한 식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8월 18일 쌀의 날에 한국배구연맹과 쌀 소비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만큼, 많은 배구팬들이 쌀의 가치를 이해하고, 건강한 한 끼의 중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