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마권 ‘구매상한제’ 있으나 마나(?)… 마사회는 ‘수수방관’

박완주 의원, “구매상한제 실효성 제고 위한 대책마련 시급”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지난 10년간 구매상한제 위반 지적건수 3만 9천여 건
마권판매 2/3는 구매상한 피할 수 있는 자율발매기 판매
1인당 평균 마권구매액 지난해 60만3000원, 2014년 대비 20.6% 증가

한국마사회가 규정한 1인 1회 10만원 구매상한액이 현장에서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천안을) 의원이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최근 10년간(2009-2018.8)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이하 사감위) 구매상한제 지적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본장 및 장외발매소에서 구매상한을 초과해 마권을 구입하다 지적된 건수는 총 3만 9,940건으로 본장 1만 8,835건, 장외발매소 2만 1,105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감위 1회 점검 당 평균 17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된 셈이다.

 

구매상한제 위반은 주로 자율발매기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율발매기의 경우 발매원이 대면하여 판매하는 유인발매기와 달리 구매상한 위반에 대한 직접적 통제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반증하듯 이용객의 대다수가 자율발매기를 통해 마권을 구매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마권 판매실적 중, 자율발매기를 통해 이뤄진 마권 판매액이 5조 2,756억 원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했고, 이어 모바일 1조 6,354억 원, 유인발매기 7,965억 원, 계좌발매 939억 원 순이었다.

 

자율발매기 마권 판매비중도 증가추세다. 전체 판매 실적 중 자율발매기를 통한 판매 비중은2014년 52.83%, 2015년 57.90%, 2016년61.33%, 2017년 67.62%으로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의 경우 1월부터 8월까지 지사별 자율발매기 판매 실적을 보면, 영등포가 2,25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1,772억 원, 천안 1,652억 원, 분당 1,554억 원, 대전 1,195억 원의 순이었다.

 

이용객의 1인당 평균 마권구매액도 증가했는데, 2014년 50만원에서 2017년 60만3000원으로 3년 만에 20.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4년 50만원, 2015년 56만8천원, 2016년 58만 8천원, 2017년 60만 3천원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장에서 구매상한제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지만, 구매상한제를 관리해야하는 마사회는 수수방관하고 있다. 사감위가 아닌 마사회가 자체적으로 구매상한제 위반을 사후적으로 적발하거나 지적한 실적은 전무했고 구매상한 준수를 위한 홍보 예산마저 줄었다.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건전화 캠페인(구매상한 준수 이벤트)예산 현황’에 따르면 올해 구매상한 준수를 위한 건전화 캠페인 배정액은 900만원으로 2016년 2,221만원의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연도별로는 2016년 2,221만원. 2017년 1,474만원, 2018년 900만원으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완주 의원은“사행성을 제한하고 건전한 경마문화를 선도해야 하는 마사회가 구매상한제 관리를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구매상한제의 실효성 제고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 행사 잇따라 열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와 (사)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을 기념하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맞아 전국 한우농가들이 십시일반 거출한 한우자조금으로 전국 온·오프라인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은 2008년 처음 지정된 기념일로, ‘소(牛)’ 자에 들어 있는 숫자 ‘1’이 세 번 겹치는 11월 1일을 상징적으로 선택해 ‘한우의 맛이 최고·제일·으뜸’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 날은 국민 모두가 함께 한우를 즐기며 한우의 우수성과 가치를 나누는 한우 명절로 자리매김해왔으며, 매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이번 행사는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이라는 취지 아래, 평소 한우를 사랑해 주신 소비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전국 한우농가의 진심을 담아 기획되었다. 28일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열린 기념행사에는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을 비롯해 한우 명예홍보대사 개그맨 윤형빈, 트로트가수 윤서령이 참석해 전 국민과 함께하는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 '소프라이즈 2025 대한민국 한우세일'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우유자조금, 국산 우유의 신선한 가치 확인...‘밀크&치즈 페스티벌’ 성료
국산 우유의 신선함과 품질 경쟁력을 시민이 직접 체험한 ‘2025 밀크&치즈 페스티벌’이 시민들의 높은 만족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 안병우)는 10월 25일(토)부터 26일(일)까지 경기 안양시 평촌중앙공원에서 행사를 개최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높은 만족 속에 진행되었다. 페스티벌 첫날은 화창한 가을 날씨로 축제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었고, 둘째 날 오전 비가 내렸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은 이어졌다. 뜨거운 참여 열기에 비까지 그치며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올해 행사는 ‘우유는 신선식품입니다’를 핵심 메시지로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마련해 국산 우유가 목장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서 48시간 이내에 유통되는 신선식품임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각종 교육‧요리‧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산 우유는 곧 신선식품이라는 인식 확산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다. 현장에서는 국산 우유와 치즈를 직접 맛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여러 체험 콘텐츠가 운영됐다. 국산 치즈 요리·시식 프로그램을 통해 맛의 즐거움을 전했고, 우유의 품질관리 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