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올 상반기 소셜 빅데이터로 본 식품산업 주요 관심사는?”

가정간편식,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식품부 지정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18년 상반기 식품산업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다. ‘18년도 상반기 중 주요 포털(네이버)에 게재된 식품산업 관련 뉴스 중 언급 빈도가 월평균 100회 이상인 주제어(키워드)는 가정간편식(HMR), 건강기능식품, 고령친화식품, 유전자변형식품(GMO), 푸드테크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건강·간편성을 중시하는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및 ‘가정간편식’에 대한 언급은 ’17년 이후 지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인구고령화 추세, 4차산업혁명 등의 기술발전으로 고령친화식품, 푸드테크에 대한 언급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유전자변형식품(GMO) 표시제 개선 청원과 관련하여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하였다.

빅데이터를 통한 식품산업의 5가지 주제어(키워드)에 대한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특성에 따라 연관어가 다르게 나타났다.

 

가정간편식, 건강기능식품은 제품 이용을 위한 목적·형태나 효과·효능 등에 주로 관심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간편식의 경우, 이용목적에 따라 집밥·식사대용, 간식, 반찬, 안주, 양념·소스 등이나 다이어트, 건강, 영양, 맛, 가격 등 구매를 결정하는 요인 등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어린이나 부모님께 선물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이어트·체중, 디톡스, 면역력 등 효능·효과에 대한 언급과 홍삼·오메가·유산균 등 제품 종류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타났다.

 

고령친화식품은 산업이 초기단계라는 점을 반영하여 정책, 연구, 개발, 표준, 성장동력 등 향후 정책 연구·개발에 대한 언급과 고령자, 건강, 고령화 등 산업여건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유전자변형식품은 안전성 관련 언급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아이·어린이, 부모, 급식 등 자녀의 식품안전에 관한 언급과 완전표시, 국민청원 등 제도 개선 요구에 관련된 언급이 많았다. 푸드테크는 농림축산식품부, 기술·정보·플랫폼, 개발·지원·투자, 창업·스타트업 등 발전 가능성에 따른 정책적 지원과 창업 등에 관심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배달 서비스와 연관되어 배달·결제·외식·음식 등도  많이 언급되었다.

 

주제어(키워드)에 대한 감성어 분석 결과 건강기능식품, 가정간편식, 고령친화식품, 푸드테크는 긍정적인 감성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유전자변형식품의 경우 긍정어와 부정어 비중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정간편식은 건강 및 식사 준비 등에서의 간편성(도움되다·쉬운)과 맛(맛있다)을 반영하는 긍정어가 주로 등장하였으며, 부정어로는 가정간편식을 이용하는 식사 준비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힘들다·귀찮다·어려운 등의 단어가 주로 등장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은 주요 긍정어로 섭취에 따른 이로움과 긍정적 기능·영향을 반영하는 단어(도움·좋은·정상적), 주요 부정어로 부정적 기능·영향을 반영하는 단어(부작용)가 사용되었다.

 

고령친화식품은 긍정어로 제품의 긍정적 기능(부드러운·건강한) 또는 시장 전망(성장하다)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반면 부정어로 고령친화식품 섭취 요인을 나타내는 약하다·떨어지다·불편하다가 주로 등장하였다. 푸드테크는 산업의 긍정적 전망(성장하다·성공적)을 반영하는 단어가 긍정어로,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을 나타내는 단어(어려운·복잡한)들이 주로 부정어로 등장하였다.

 

유전자변형식품은 다른 키워드에 비해 긍정어 비중이 낮으며, 부정어 비중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GMO의 개발 이유를 설명하는 단어(건강한·안전한·좋은)가 긍정어로 주로 등장한 반면, 소비자의 불신을 반영하는 단어(유해하다·반대하다·부작용·논란)가 부정어로 주로 등장하였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한국배구연맹,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 체결
농협(회장 강호동)은 한국배구연맹(총재 조원태)과 18일 서울 마포구 한국배구연맹 대회의실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 조원태 한국배구연맹 총재, 신무철 사무총장, 배구선수 정지석과 양효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프로배구 경기와 연계한 쌀 소비 홍보 ▲연맹 소속 구단 및 선수 대상 아침밥 먹기 운동 동참 ▲농협의 쌀과 쌀 간편식을 활용한 건강한 식습관 확산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참여 ▲농협 쌀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단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농협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25 KOVO컵 프로배구대회’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한다. 대회기간 동안 '행복米밥차를 운영하고, 경기장 광고와 전광판을 활용해 쌀 소비촉진 캠페인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선수단과 팬이 함께하는 아침밥 먹기 캠페인, 다양한 현장 이벤트 등을 진행해 건강한 식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8월 18일 쌀의 날에 한국배구연맹과 쌀 소비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만큼, 많은 배구팬들이 쌀의 가치를 이해하고, 건강한 한 끼의 중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