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너도나도 ‘한우’ 농사에 뛰어들면서 ‘수급불안’ 키워

GS&J, 한우 총사육두수 292만5천두… 송아지 입식수요는 여전히 높고 번식의향은 주춤

GS&J 민간 연구소가 최근 밝힌 한우농가들 입식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한우 총사육두수는 올 6월에 292만 5천두로 작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여 2016년 9월 이후의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

이중 암소는 186만 3천두로 작년 동기대비 2.1% 증가하였으며, 수소는 106만 2천 두로 0.3% 증가하였다.

 

송아지 생산두수는 작년 3분기와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5%, 17.7% 증가하였고, 올 1분기에는 31.9%로 더 크게 증가하였으나 2분기에는 30만 3,858두로 작년 동기 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우 도축두수는 작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올 2월 1만 7,629원/kg에서 6월 1만 8,098원/kg으로 꾸준히 상승한 후 7월에는 1만 7,418,원/kg으로 약간 낮아졌으나 8월에 다시 1만 7,985원으로 상승하였다.

 

한우고기 공급이 증감을 반복하며 느리게 증가하고 있으나 올해 초부터 부정청탁법의 농축산물 선물한도가 10만원으로 상향조정되어 한우 수요가 회복되면서,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올 상반기에는 상승세가 지속되어 5월에 두당 365만원, 6월에도 369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하였으나, 7월과 8월(1∼30일)에는 각각 356만원, 353만원으로 낮아졌다.

 

작년 4분기 이후 올 1분기까지 송아지 생산두수는 전년 대비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음에도 송아지 가격은 전년보다 높아 송아지 입식수요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이 연구소는 판단했다.

 

또, 송아지 입식수요가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높은 증가세를 보이던 송아지 생산두수가 올 2분기(3~5월)에는 작년 동기보다 0.1% 증가에 그쳐 9월 이후 송아지 가격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작년 4월부터 상승하던 인공수정률 추세치는 연말 이후 번식의향이 불안정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고, 암소 도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는 작년 추석 이후 하락을 멈추어 암소 사육의향은 증가세가 잦아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