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박주현 의원, ‘2019년 전체예산 중, 농업은 겨우 3.1%’… ‘농식품부 뭐했나?’

‘매년 1000억 원 삭감 계획’... ‘20년~′22년 농림·수산·식품분야’에서

2019년 국가예산안 중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겨우 3.1%로 발표돼, 문재인 정부의 농업·농촌 무시가 현실로 드러났다. 농정을 책임지는 농식품부 역시, 무엇을 했는지 강한 비판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는 박주현 의원(농해수위)이 지난 8월 28일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19년 국가예산안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2020년~2022년까지 매년 1000억 원씩 ‘농림·수산·식품분야’ 예산을 삭감한다는 계획임이 드러났다.

 

박근혜 정부에서 국가예산은 △2015년 375조 4000억 원 △2016년 386조 4000억 원 △2017년 400조 5000억 원에서 점차 늘어나다가, 문재인 정부에서는 △2018년 428조 8000억 원 △2019년 안 470조 5000억 원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2016년 2.9%↑→ 2017년 3.7%↑→ 2018년 7.1%↑→ 2019년 9.7%↑로 증가하여 재정확장 기조가 뚜렷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 농식품부 예산은 △2015년 14조 431억 원 △2016년 14조 3681억 원 △2017년 14조 4887억 원 △2018년 14조 4996억 원 △2019년 안 14조 6480억 원으로, 2016년 2.3%↑→2017년 0.8%↑→2018년 0.1%↑→2019년 1%↑로 농식품부 예산의 증가율은 정체 중이다.

 

그뿐만 아니라, 농식품부 예산이 국가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3.7% △2016년 3.7% △2017년 3.6% △2018년 3.4% △2019년 3.1%로 계속 감소하고 있고 문재인 정부 들어 더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

 

박주현 의원은 “우리의 근본은 농업에 있고, 농업은 산업의 근간이다. 농업은 식량안보를 위해서 중요하고 생태적 가치도 매우 크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선진국에서 농업은 식품산업, 관광산업, 4차산업 등과 연관된 6차산업, 10차산업으로 중요시되고 있으며, 5천만 명 정도의 인구 대국이 농업을 중시하지 않고 선진국으로 발전한 사례는 없다.”며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농업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경제 약자인 농민을 무시한 문재인 정부의 농업홀대가 도를 지나쳤다”라며, “내년 농업예산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시기에 농식품부장관 6개월, 청와대 농어업비서관 4개월의 공백이 초래한 농업 참사다. 농식품부 차관 이하 직원들 역시 수장 공백 상황에서 농업·농촌을 제대로 대변하는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박주현 의원은 논의 생태적·공익적 가치를 반영하면서, 농촌소득향상과 농촌 양극화 해소의 출발점으로서, 쌀 목표가격을 245,000원으로 인상하고,고령농·영세농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세대당 1ha까지는 현행 100만 원에서 200만 원까지 쌀 고정직불금을 인상할 것을 주장하며, 민주평화당의 당론으로 이끌어낸 바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윤준병 의원, “농진청 부서 수원이전 재검토 결정 환영... 균형발전 원칙 지켜야!”
최근 농촌진흥청이 조직 개편을 명분으로 전북특별자치도에 소재한 일부 부서와 인력을 수도권으로 이전하려는 계획을 추진하면서 전북을 중심으로 논란이 됐다. 이러한 가운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 윤준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이재명 정부의 균형발전 기조에 역행하는 농진청의 행태를 강력히 지적하고 도민들의 우려를 전달한 끝에, 22일 농촌진흥청의 이전 중단(전주 잔류) 결정을 이끌어냈다. 윤준병 의원은 “농촌진흥청의 수도권 이전 중단(전주 잔류) 입장을 만시지탄(晩時之歎)이지만 환영한다”며 “국가의 농업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핵심기관인 농촌진흥청이 단순한 행정 효율성을 넘어 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부합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당초 농촌진흥청은 연구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라는 미명 하에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부서 및 기능과 일부 인력을 수원으로 이전하는 등의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와 기능성식품과(푸드테크소재과로 명칭 변경)가 수원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이다. 이렇듯 충분한 검토와 소통 없이 전북혁신도시에 자리 잡은 조직과 인력을 수도권으로 다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