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ASF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차단 캠페인 펼쳐 나간다

농식품부‧검역본부‧한돈협회‧한돈자조위 등 민관협력 ‘ASF’ 유입차단에 국경검역 총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8월 31일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대한한돈협회,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등과 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국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국경검역 홍보 캠페인을 실시한다.

 

이번 캠페인은 중국에서 최근 ASF가 총 4건(8.3.∼8.22.)이 발생하고, 중국을 다녀온 여행객이 휴대하여 반입한 돈육가공품에서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검출(8.24)되는 등 국내 유입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준비되었다.

 농식품부는 축산 농가는 물론 일반국민들에게 외국에서 축산물을 불법으로 휴대하여 반입할 경우 ASF 등 해외 악성 가축질병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경각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하고, 또한 양돈농가에는 이와 별개로 잔반 급여 자제, 소독 등 예방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줄 것을 재차 주문하였다.

 

캠페인은 대한한돈협회 회장단,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소속 임직원과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직원이 합동으로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해외로 나가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해외에서 축산물·가공품 등 반입금지 및 가축질병 발생국의 축산농장 방문 자제 등 여행객 유의사항이 적힌 전단지(2천부)와 홍보물품(1천개)을 배포하고 현수막 게시 등을 활용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홍보캠페인을 계기로 일반 국민들이 무심코 해외에서 들여오는 축산물로 인해 자칫 우리 양돈산업 등 축산업계에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인지하게 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한돈협회 등과 함께 여행객 대상 홍보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천공항=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