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외래잡초 ‘가시박’ 생길 때마다 없애줘야

농경지에 유입되지 않는 것이 중요… 발생 시 제초제 방제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생태계를 어지럽히는 외래잡초 가시박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없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방제와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가시박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1년에 8m 가량 자란다. 34개의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며 기어오르는 특성 때문에 주변 식물은 햇볕을 받지 못해 말라죽는다열매에는 날카롭고 가느다란 가시가 촘촘히 붙어 있어 사람과 가축에 피부염을 일으킨다.

 

농촌진흥청 조사 결과지난해 경기 안성의 인삼밭과 옥수수밭경북 안동의 논에서 가시박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는 확산 방지에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하천변이나 제방에 발생한 가시박은 어릴 (5월 중순6월 하순낫 등으로 제거해야만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 시기를 놓치면 꽃 피기 전(7월 초)이나 종자가 익기 전(8월 말) 가시박 줄기의 밑둥치를 낫으로 잘라야 종자 생성을 막아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가시박은 한 번 없앴다고 해도 6월 말까지 계속 생겨나기 때문에 꾸준히 살피면서 발생할 때마다 제거해야 한다.

 

농경지에는 가시박이 생기기 전에 토양에 리뉴론 수화제나 시마진 수화제 같은 제초제 처리를 하거나 발생 초기에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액제글리포세이트 액제 등을 작물에 뿌린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이인용 농업연구관은 가시박은 주당 400500개의 종자를 생산하기 때문에 일단 농경지에 침입하면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다.” 라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발생 즉시 제거해 확산을 막아야 한다.” 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