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고기 '안전한 먹거리' 구매력 높아

- 한우자조금, '2021년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결과 발표
- 한우고기 핵심소비층 파악을 위해 고객세분화 추가 분석
- 안전한 식품을 선호하고 식품구매에 관여도가 높을수록 한우고기 구매력 상승
- 인터넷/TV홈쇼핑 통한 한우구입 1.6%p↑... 지속적인 증가
- 외식수요는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조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올해 1월부터 2개월간 일반소비자 3천명, 우리한우판매점·한우유명한곳 소속 소매판매점 400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금번 모니터링은 TNO코리아에서 전년도(2021년) 기준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교육조사부에서 분석·정리한 것이며, 특히 금년에는 한우고기 핵심소비층 파악 및 트렌드 분석을 위해 고객세분화 분석을 추가적으로 추진하였다.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가구소비자는 육류 구입 시 전년 대비 ‘가격’ 요인 중요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대부분의 육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가격 외에 ‘원산지(+2.9%p)’, ‘등급(+3.9%p)’, ‘안전성(+1.5%p)’ 등 제품의 신뢰도와 관련된 요인들의 중요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우고기 구입장소는 대형할인점 정육코너(37.2%)가 전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았으며, 특히 인터넷/TV홈쇼핑을 통한 구입은 전년대비 1.7%p 증가한 6.9%로 나타났는데, 전체 비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이지만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외식 시 한우고기 1인당(1회) 지출 비용은 전년 대비 9,117원 증가한 61,269원으로 한우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1인당 평균 한우고기 외식 섭취량은 코로나19 및 가격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13g 증가한 333.6g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한 식품구매형’과 ‘식품구매 고관여형’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한우고기 평균 섭취량이 높았다.
‘안전한 식품 구매형’은 60대 고연령층에 성인자녀를 둔 고소득층이 주요 특성이었으며, ‘식품구매 고관여형’은 2인가구 및 초중등자녀를 둔 중간소득 수준의 40~50대 여성이 주요 특성이었다.
    
2022년 유통업계의 한우고기 구입량 전망을 조사한 결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46.5%, ‘증가할 것’ 25.0%, ‘감소할 것’ 28.5%로 조사되었다.
‘식육판매점’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일반음식점’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쇠고기별 특성(맛, 안정성 등)에 대한 만족도지수는 매년 한우고기가 가장 높에 유지되고 있으며, 2020년에 감소한 수치를 금년에 대부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번 모니터링을 통한 한우고기 소비·유통 트렌드 분석으로 한우산업 관계자 및 한우농가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유관기관 및 정부의 정책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