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평원, 현장 품질개선 높은 평가

- 축산물품질평가원,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평가’에서 3년 연속 ‘우수’
- 장승진 원장 “앞으로도 K-축산물 세계 명품화 위해 끊임없이 소통할 것"
- 기획재정부 주관 245개 기관 중 최고등급 인정 받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2021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최고등급인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공공기관의 서비스를 제공받은 국민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설문조사다.

특히, 축평원은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3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전체 245개 공공기관 중 3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기관은 9곳이다.

축평원은 이번 평가에서 전년(95.9점)보다 0.1점 상승한 96.0점을 획득하였으며, 목표치 대비 모든 평가항목에서 ‘만족(S)’을 달성하였다.
이는 전체 공공기관 평균인 85.7점보다 10.3점이 높은 점수로, 설립 이후 최고 점수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세부 항목별로 ‘전반적 고객만족’이 96.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서비스 품질’과‘사회적 책임’이 각 96.2점, 95.9점으로 뒤를 이었다.

축평원은 지난 한 해 현장 고객서비스 개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하여 ‘KAPE 고객 우수사례 경진대회’ 실시 등 현장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힘써왔다.

이 밖에도 고객 현장소통 ‘축평이게임’ ‘고기했어 오늘도!’ 캠페인, 간부가 직접 하는 ‘KAPE해피콜’ 스트레스 예방 활동 등 다양한 현장 서비스를 추진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극복 및 축산수급 안정을 위해 참여형 신규 온라인 소통을 강화하여 고객 눈높이 서비스를 실천했다.
대표적으로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인 ‘설록KAPE즈’, 고급육생산 소통‘한우농가 한바퀴’, ‘축평원덕력고사’, ‘축평원삼행시’ 등을 통하여 고객들의 많은 참여를 유도했다.

이 밖에도 IT기술인 메타버스 활용한 품질평가VR체험관(농업박람회), 메타버스 KAPE(제페토 맵) 구축 등 다양한 이벤트를 추진한 바 있다.

축평원 장승진 원장은 “최근 코로나19로 고객과 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직원들이 고객중심 서비스을 위한 노력한 결과로 더욱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K-축산물 세계 명품화를 위해 고객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우수한 고객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